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내란 혐의를 수사하는 검찰이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을 피의자로 소환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10일 오전 여 사령관을 서울중앙지검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여 사령관은 현직 군인 신분인 만큼 특수본에 파견된 군검사가 조사를 담당하고 있다.
특수본이 비상계엄 관련자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한 것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검찰 조사를 받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계엄사령관), 곽종근 특수전사령관 등은 모두 참고인 자격이었다. 긴급체포된 김 전 장관의 체포 시한(48시간) 이내에 주변인 진술 확보가 시급한 만큼 우선 참고인으로 조사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혐의에 대한 조사는 뒤로 미룬 것이다.
여 사령관은 김 전 장관의 지휘를 받아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방첩사 병력·요원을 투입하고 여야 대표 등 주요 인사를 체포하려 했던 것으로 지목된 인사다. 김 전 장관 등과 비상계엄을 사전 모의하고 포고령 작성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계엄 체제가 본격 가동됐을 경우 여 사령관은 계엄사 산하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을 예정이었다. 1979년 10·26 사태로 촉발된 비상계엄 때 당시 군 장성이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이 맡았던 역할이다.
앞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계엄령 선포 직후 윤석열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여 정리하라”고 지시했고, 여 사령관이 우원식 국회의장·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 10여명의 위치 추적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조지호 경찰청장도 비상계엄이 선포된 3일 밤 여 사령관이 이 대표 등의 위치 추적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방첩사가 비상계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보고 전날 서울과 과천 등지에 흩어진 방첩사 사무실에 대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여 사령관을 상대로는 국회와 선관위에 병력을 투입하고 정치인 등을 체포하려 한 이유가 무엇인지 등을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여 사령관이 계엄 당시 윤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밝힌 만큼 구체적으로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도 조사할 전망이다.
육사 48기인 여 사령관은 윤 대통령, 김 전 장관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다. 그는 비상계엄 선포를 사전에 알지 못했고 군인으로서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는 취지로 해명했으나 검찰은 내란을 일으킨 혐의가 있다고 보고 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