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혼란한 정국이 이어지는 데 대해 “서울시는 빈틈없이 시민의 안전과 민생 경제, 교통과 한파 대책에 이르기까지 시민의 일상을 철저히 챙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9일 시청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모든 공직자는 국민을 위해 ‘있어야 할 곳’에서 ‘해야 할 일’을 할 때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부회의에는 오 시장, 김상한 행정1부시장, 유창수 행정2부시장 등 각 실·본부·국장이 참석해 민생 안정을 위한 분야별 대책을 논의했다.
오 시장은 우선 탄핵 정국 속에 연일 집회가 열리는 것과 관련해 “여의도와 광화문 등 도심 집회 시 시민 안전을 위해 119 구급대를 상시 확대 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경찰, 자치구와 함께 인파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소비 위축 우려에 대해선 “비상경제회의를 주 2회 주재하겠다”며 “매출 증대 방안까지 체계적으로 담은 (5356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를 추진해 어려움이 가중될 자영업을 즉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오 시장은 “시는 지난달부터 야간 긴급 치료센터 2곳, 질환별 전담병원 4곳 운영 중이고 추가 확대도 고려하고 있다”며 ‘의정 갈등’ 장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응급의료 시스템 강화 계획도 밝혔다.
행정안전부도 이날 고기동 행안부 차관(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시·도 부단체장 회의를 열고 지역 민생 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경제와 밀접한 현안 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민원 처리, 대민 서비스 등 지방 행정 업무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지자체가 주관하는 축제와 행사도 계획대로 추진된다. 소상공인 등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도 강화한다. 노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생계지원 및 복지사업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지방 공공요금 등 지역 물가도 안정적으로 관리한다.
또 행안부와 각 지자체는 ‘지역 민생안정 대책반’을 구성해 협력하기로 했다. 고 차관은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 여건에 맞게 주민 불안 해소와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전력을 다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사임한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이임사에서 “탄핵소추로 인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거운 마음으로 장관직을 내려놓는다”며 사임 배경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충암고, 서울대 후배인 이 전 장관이 비상계엄에 동조한 혐의가 짙다며 이 전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7일 발의한 상태였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