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7일(현지시간) 프랑스 노트르담 대성당 재개관 기념식에 참석하면서 국제무대에 공식 복귀했다. 대선 승리 이후 첫 해외 방문지인 파리에서 나온 외교 일성은 “세상이 약간 미쳐가는 것 같다”였다.
트럼프는 이날 기념식 전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회담했다. 그는 회담 전 기자들에게 “지금 세상이 약간 미쳐가는 것 같다. 우리는 그것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전쟁 등을 거론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또 자신의 1기를 언급하며 “우리는 함께 좋은 시간을 보냈다”고 평가했다.
마크롱도 이 자리에서 트럼프의 방문에 대해 “프랑스 국민에게 위대한 영광”이라며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9년 4월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당시 트럼프가 재임하고 있었던 점을 거론하며 “트럼프의 연대와 즉각적인 조치를 기억한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당시 소셜미디어를 통해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를 지켜보는 것은 끔찍하다”며 “날 수 있는 물탱크를 이용해 불을 끌 수 있을 것이다. 빨리 행동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두 정상의 대화에는 원래 트럼프 당선인과 별도로 만나기로 했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참여했다. 젤렌스키는 두 정상이 먼저 만나고 45분 후 회담에 합류했다. 회담은 비공개로 30분 넘게 진행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3자 회동 뒤 소셜미디어에 “훌륭하고 생산적인 3자 회담”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모두 이 전쟁이 가능한 빨리, 정당한 방식으로 끝나길 원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나처럼 단호하다”고 덧붙였다. 마크롱 대통령도 트럼프, 젤렌스키와 나란히 앉은 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올리며 “미국, 우크라이나, 프랑스. 이 역사적인 날에 함께 모였다. 평화와 안보를 위한 우리의 공동 노력을 이어가자”고 적었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와 유럽은 트럼프가 러시아에 유리한 전황을 유지한 채 전쟁을 급하게 끝낼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회동은 우크라이나가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하고 자국의 이익에 최대한 부합하는 방식으로 전쟁을 끝내기 위한 외교적 노력의 하나”이라며 “우크라이나는 노트르담 성당 재개관식을 수십 명의 세계 지도자들에게 자국의 주장을 펼칠 기회로 여겼다”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이어 파리 주재 영국대사관에서 영국 윌리엄 왕세자도 면담했다. 트럼프는 윌리엄 왕세자에 대해 “그는 환상적인 일을 하고 있다”며 “그는 좋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파리를 방문해 각국 정상을 만나는 동영상을 여러 개 올렸다. 특히 마크롱과 만나서 악수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큰 영광이다. 감사하다”고 적었다. 트럼프는 마크롱과 처음 만나 악수하면서 그의 오른손을 자신에게 끌어당겨 세게 흔들었다. 두 사람은 그 뒤에 포옹하고 어깨에 손을 올리며 친밀감을 나타냈다. 이어 궁으로 들어가며 카메라를 보고 한 차례 더 악수했는데 마크롱의 오른손을 위에서 아래로 찍어 누르는 듯한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소셜미디어에 시리아 내전에 대해 글을 올리기도 했다. 그는 “시리아는 엉망이지만 우리는 친구가 아니며 미국이 관여해서는 안 된다”며 “그냥 내버려 두라. 관여하지 말라”고 적었다. 시리아는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과 2011년부터 내전을 벌여온 반군이 최근 대대적 반격에 나서면서 수도 다마스쿠스까지 포위했다. 그동안 러시아는 대통령 측 정부군을 지원했고, 미국은 쿠르드족 민병대를 지원하면서 대리전 양상으로 전개됐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