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안’ 부결될듯… 野 “퇴장한 與 돌아오라”

입력 2024-12-07 18:57 수정 2024-12-07 19:04
7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텅 빈 국회 본회의장 국민의힘 의원석에 안철수 의원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7일 국회에서 부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일 돌발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나흘 만이자, 탄핵안이 발의된 지 사흘 만인 이날 표결이 이뤄졌다.

국회는 오후 본회의를 열고 ‘대통령(윤석열) 탄핵소추안’을 무기명 표결에 부쳤지만 찬성표는 가결 정족수 200명에 미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다. 다만 우원식 국회의장은 투표 종료 선언을 보류하고 여당 의원들의 표결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탄핵안 표결 직전 본회의장에서 집단 퇴장했기 때문이다. 탄핵안 가결을 위해서는 여당에서 8표의 이탈표가 필요하지만, 국민의힘에서는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만 오후 7시 현재 투표에 참여했다. 아직은 투표 참여인원 전체가 정족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표결에 참여한 안 의원은 기자들을 만나 “국회의원은 한 사람 한 사람이 헌법기관”이라며 “당의 당론이 있다 하더라도 자신의 소신에 따라서 우선 자기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높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뜻에서 저는 국회법에 따라 충실히 헌법기관으로서 임무와 소신에 따라 충실히 투표했다”고 말했다.

표결 전 탄핵안 제안설명을 위해 연단에 오른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여당 퇴장에 항의하는 의미로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의 이름을 한명씩 부르며 표결에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본회의장 복귀를 기다리며 투표를 지연 전략도 펼쳤다.

전날까지만 해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탄핵 찬성을 시사하며 탄핵안이 가결될 가능성이 거론됐다. 친한계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질 경우 탄핵안 가결 정족수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었다.

그러나 이날 오전 대국민 담화에서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에 대해 사과하고 임기와 국정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하자 여당 내 기류도 급변하기 시작했다.

한 대표는 담화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앞으로 대한민국과 국민에게 최선인 방식을 논의하고 고민할 것”이라며 윤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하는 듯한 스탠스를 취했다. 전날 탄핵찬성을 공개적으로 밝혔던 조경태 의원이 말을 주워 담는 등 친한계 의원들도 탄핵 반대 쪽으로 입장이 기울었다.

결국 국민의힘은 본회의 직전 의원총회에서 탄핵안 부결을 당론으로 유지하고, 탄핵안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