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추진에 대해 반대하겠다는 당론을 유지하기로 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전날 찬성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지만 친윤(윤석열)계의 반발이 컸던 탓이다.
7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신동욱 원내 수석 대변인은 전날 국회에서 의원총회가 끝난 뒤 취재진을 만나 “당론 변경 얘기는 없었다. (윤 대통령 탄핵 추진에 반대하겠다는 기존 당론이)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해달라”라고 말했다. 이날 의총은 한 대표가 윤 대통령의 직무를 정지해야 한다며 사실상 야권의 탄핵 추진에 찬성하는 방안을 열어놓은 데 대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열렸다.
한 대표는 이날 자신이 소집한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롭게 드러난 각종 사실을 고려할 때 한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 집행 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직무 정지 방법으로는 그의 자진 사퇴와 탄핵이 거론된다. 윤 대통령이 자진 사퇴 의사를 표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7일 탄핵 소추안 가결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대표는 전날까지만 해도 야권이 낸 윤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에 대해 “통과되지 않도록 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자신을 포함한 주요 정치인을 체포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생각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그는 윤 대통령이 충암고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주요 정치인을 체포하라고 지시했다는 근거를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친윤계는 탄핵 신중론을 펴며 한 대표에게 제동을 걸었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에 “탄핵에 분명히 반대한다”라고, 비윤계로 분류되는 윤상현 의원은 “사실관계도 없이 (윤 대통령을 탄핵하자는) 야당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라고 각각 적었다. 나경원 의원은 취재진을 만나 “상황과 진실을 더 파악해봐야 한다. 탄핵 반대라는 당론은 이미 정해져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11시를 넘겨 끝난 의총에서는 윤 대통령에 대한 야권의 탄핵 추진을 반대한다는 당론이 뒤집히지 않았다. 신 대변인은 "구체적으로 탄핵에 찬성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의원은 제 기억에는 없다"라고 말했다. 다만 친한(한동훈)계를 비롯한 일부 의원이 그의 입장을 공개 지지한 만큼 탄핵 소추안 표결 시 찬성표를 던지는 ‘소신 투표’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