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침묵이 계속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과 면담하는 등 정부·여당과 소통을 이어가고 있지만 사후 대책이나 사과 메시지 등은 내놓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오전 4시27분 비상계엄 해제를 발표한 후 이날 공식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 5일과 6일도 공식 석상에 등장하지 않았다.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윤 대통령 명의의 공식 입장 또한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비공개로 정부·여당 등과 소통 중이다. 지난 4일에는 한 총리, 한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주호영 국회부의장 등과 만나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책을 논의했다. 6일에도 한 대표와 비공개로 면담을 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2차례 모두 관련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
한 대표와의 6일 면담 이후 윤 대통령 또한 국회를 찾아 입장을 내놓을 것이라는 풍문이 돌았으나 대통령실은 “국회 방문 일정이 없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날 면담에서 비상계엄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힐 것을 제안했으나 윤 대통령은 “아직 때가 아니라 판단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의 침묵이 길어지자 연일 ‘대국민 담화’ 풍문이 도는 상황이다. 4일과 5일에 이어 6일에도 윤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가질 것이라는 풍문이 돌았다. 이에 대통령실은 “오늘 중 담화를 발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직접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대통령실과 여권 관계자 등을 통해 ‘비상계엄은 야당의 폭주에 맞서기 위한 경고성 조치’라는 윤 대통령의 인식이 전해졌다. 국회 과반을 차지한 야당이 감액 예산안을 일방 처리하는 등 국정이 마비될 상황이 오자 계엄으로 야당에 경고하려 했다는 취지다.
대통령 해외홍보비서관실은 로이터 등 외신에 전한 “계엄 선포가 헌법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졌다”는 입장에서 간접적으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배경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침묵이 이어지는 동안 비상계엄에 관련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며 국면도 연일 변화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 5일 ‘탄핵 부결’을 당론으로 정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정치인 체포를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한 대표는 6일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며 탄핵을 찬성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공개적으로 탄핵 찬성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예고대로 7일 오후 7시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표결한다는 계획이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