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을 앞둔 6일 서울 광화문과 여의도 등에서 대규모 집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통신 트래픽 장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보통신(IT) 업계는 트래픽 급증에 대비해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트래픽 급증에 대비한 상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탄핵 표결을 앞두고 열리는 집회에도 이동기지국 등으로 트래픽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주말 대규모 인파 밀집 예상되는 지역에 이동기지국 배치, 용량 증설 등으로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KT는 과천관제센터에 중앙상황실을 열고 전체적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관리키로 했다. 또 6개 광역시 중심에 상황실을 열고, 광화문 용산 여의도 등 주요 시설에 대한 통신망을 점검하고 이동기지국을 배치할 계획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트래픽 증가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며 “집회 인원에 따라 정해진 기준에 맞춰 이동기지국 차량을 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카페 접속과 댓글 달기 등 일부 기능에 장애가 발생했던 네이버는 시스템 안정화 체계를 통해 혹시 모를 트래픽 증가에 대응할 방침이다. 카카오 역시 서비스 안정성을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통신 당국은 이용자들이 불편 없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기본 방침에 따라 트래픽 폭주 상황 시 통신사·플랫폼사와 연락 체계를 긴밀히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유사시 외부 세력의 사이버 공격 시도에 대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24시간 가동 중인 감시 체계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