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요구로 비상계엄이 해제된 4일 저녁 전국 곳곳에서 윤석열 정권의 퇴진을 촉구하는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이날 오후 6시부터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윤석열 퇴진 시민대회’를 열었다. 집회에 참석한 시민 대부분은 중장년층이었지만, 대학생이나 아이 손을 잡고 나온 가족도 있었다. 이들은 ‘내란죄 윤석열 퇴진’이라고 적힌 피켓과 촛불을 들고 “국민이 승리했다” “퇴진광장을 열어내자” “국민주권 실현하자” 등 구호를 외쳤다.
마이크를 잡은 한상희 참여연대 공동대표는 “극악무도한 대통령”이라며 “우리의 역사를 망친 바로 그 계엄을 했다. 당장 사퇴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도 “오늘부로 윤석열은 대통령이 아니다”라며 윤 대통령을 내란죄 현행범으로 체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들 또한 연단에 올라 자유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인천에서 온 조진영씨는 2년 전 대선에서 윤 대통령을 뽑았다며 “제가 저지른 실수에 대해 최소한의 책임을 지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가자 이미현씨는 “쌍둥이 아들을 군대에 보낸 엄마로서 이 자리에 서지 않을 수 없었다”며 “대한민국이 자기 건 줄 알고 불법계엄을 선포했다”고 비판했다.
주최 측은 이날 참가 인원이 1만명인 것으로 추산했다. 경찰의 비공식 추산 인원은 2000명이다. 참가자들은 집회가 끝난 뒤 용산 대통령실까지 행진했다.
경남에서도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경남 40여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윤석열 퇴진 경남운동본부는 이날 오후 5시 창원시 성산구 창원광장에서 ‘불법 계엄 윤석열 즉각 체포 경남 시국 대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 추산 1000여명의 시민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정의당, 노동당, 여성의당 등 6개 정당 경남도당이 참여해 윤 대통령을 규탄했다.
광주에서는 오후 7시부터 ‘광주시민 총궐기대회’가 진행됐다. 광주 86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윤석열 퇴진 시국대성회 추진위가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개최한 이 집회에는 1100여명(주최 측 추산)이 모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민들은 추운 날씨 속에서도 ‘윤석열 내리자’ ‘내려와라 국민이 희망이다’ 등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했다.
이 밖에도 부산, 울산, 대전, 충남 강원, 제주 등 전국 각지에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왔다. 이처럼 동시다발 퇴진 집회가 열린 것은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이후 8년 만이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