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수도권 이전 현실화?…부산 '우려'
부산 경제의 상징으로 남을 수 있을까?
정부와 지역 사회, 지원·협력해야 할 때
에어부산은 2007년 부산을 기반으로 탄생한 저비용항공사(LCC)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시민 이동 편의를 위해 설립됐다. 현재 부산의 상징적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지만, 아시아나와 대한항공 합병 과정에서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을 통합한 LCC 출범과 수도권 중심 운영 가능성이 논의되면서 미래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에어부산 본사의 수도권 통합·이전은 고정비 절감과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에어부산은 단순히 경제적 논리로 평가하기 어려운 존재다. 지역 경제와 함께 성장해 온 동반자이자, 부산 시민들에게 자부심을 안겨준 상징적 기업이기 때문이다. 수도권 이전이 현실화하면 부산이 에어부산에 기대했던 역할과 가치를 포기하게 되는 셈이다.
부산상공회의소와 지역 상공계,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상황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부산상의는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을 통해 지역 항공사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산업은행과 국토교통부가 과거 약속했던 '지방 공항 거점 유지' 공언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 2020년 기업 결합 당시 국토부와 산업은행은 지방공항을 거점으로 한 제2 허브 구축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최근에는 "기업이 판단할 문제"라는 입장으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합병은 세계적인 항공사로 도약할 기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지역 기반 항공사가 희생된다면 국내 항공산업의 다양성과 지역 균형 발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부산은 물류와 해양 산업과 연계된 항공산업 발전 가능성을 키워왔기 때문에 에어부산 이전은 장기적인 지역 비전에도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가덕신공항이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자리 잡으려면 에어부산과 같은 지역 기반 항공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에어부산 본사를 부산에 유지하는 문제는 단순히 기업의 선택으로 끝날 일이 아니다. 수도권 이전이 경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은 이해할 수 있지만, 에어부산이 부산에 남아 지역 경제와 협력한다면 더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한항공과 같은 결정권자들이 에어부산의 부산 본사 잔류를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면, 이는 부산과 기업 모두에게 장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기업의 생존을 넘어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려면 지역 사회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세제 혜택, 기반 시설 확충, 지역 연계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에어부산이 부산에 머물면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에어부산은 부산 경제뿐 아니라 도시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지키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부산이 수도권으로 이전할지, 아니면 부산에 남아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할지는 부산 시민들과 지역 사회가 협력해 답을 만들어가야 할 과제다. 국토부와 산업은행은 물론 부산 지역 사회 모두가 에어부산이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