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이후 달라진 尹모교 서울대…“발빠른 비판성명”

입력 2024-12-04 16:20 수정 2024-12-04 16:23
서울대학교 정문. 서울대 제공

윤석열 대통령의 모교인 서울대가 계엄 사태와 관련해 4일 “심각하게 우려한다”는 성명을 냈다. 서울대는 올해 들어 계엄 발령 직전까지 이뤄진 대학별 시국선언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지적을 받았다. 계엄 사태를 기점으로는 서울대가 비판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키우고 나섰다.

서울대학교 교수회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3시간여 뒤인 4일 오전 1시40분쯤 교수회장 명의로 긴급 성명을 발표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주요 대학 가운데 가장 먼저 나온 성명이었다. 서울대 교수회에는 모든 교원들이 포함돼 있다.

교수회는 성명에서 “12월 3일 한밤중에 발생한 정치적 사변을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와 국회는 국민의 뜻을 겸허하게 받들어 헌법에 따른 절차를 준수해 비정상적인 상황을 신속히 종식시키기를 엄중하게 요구한다”며 “서울대 평교수들은 이 사태로 인한 학교의 정상적인 학사운영을 방해하는 어떤 조치도 강력히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교수회의 신속한 입장 발표는 최근 대학별로 이뤄진 시국선언 때와는 다른 모습이다. 서울대는 주요 대학 가운데 가장 늦은 지난달 28일 시국선언을 했다. 선언문 내용을 두고 교수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린 탓이다.

당시 시국선언문엔 ‘졸속한 의대 증원이 의대교육 대란을 몰고 올 것’ ‘민간주도성장이라는 정체불명의 경제 정책이 세태를 악화시켰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일부 교수는 이 같은 메시지가 선언문에 담기는 데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는 “대학 내에도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확산되며 사회적인 이슈나 쟁점에 대해서 한가지 목소리로 모아가는 일들이 많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계엄 전 이뤄진 서울대 시국선언은 교수회가 아닌, 민주평등사회를위한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민교협) 소속 교수들 주도로 이뤄졌다. 민교협은 1987년 6월 설립된 교수단체로 약 1500명의 교원이 속해있다. 임정묵 서울대 교수회장은 “계엄 이전의 정치적 사안에 대해서는 교수들 간 의견 일치가 명확히 이뤄지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대 박물관에서 서울대 교수·연구진이 시국선언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계엄 사태 직후엔 교수회가 신속한 행동에 나섰다. 임 회장은 “4일 새벽 교수 이사회를 화상으로 소집해 논의한 결과 계엄령 발표가 누구도 동의할 수 없는 사변이라는 점에 모두 동의했다”며 “상황이 엄중한 만큼 앞선 시국선언과 달리 빠르게 의견 일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서울대 학생들도 대응에 나섰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이날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비판하는 성명을 내고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적 헌정질서를 짓밟는 행위”라며 윤 대통령을 비판했다. 총학은 “비민주적 비상계엄이 학문적 전당마저 짓밟으려 했다. 국가 권력이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지 않는다면 우리는 기꺼이 권력에 저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웅희 기자 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