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국가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첫발을 내디뎠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3일 강화남단 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인천경제자유구역 강화국제도시 개발계획(안)’의 자문 요청을 산업통상자원부에 공식 접수했다고 4일 밝혔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은 개발계획에 대해 오는 17일 산자부 주관 ‘경제자유구역 자문회의’에서 논의할 계획이다.
자문회의는 강화남단의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관련한 첫 공식 절차로 의미를 갖는다. 인천경제청은 자문회의에서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개발계획을 보완·수립한 뒤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정식으로 신청할 방침이다.
개발계획은 국제공항경제권 내 위치한 강화남단 지역을 중심으로 미래 첨단산업의 핵심 거점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6월 관련 용역에 착수해 ▲그린바이오 파운드리(단지) ▲해양치유지구 ▲친환경웰니스 주거단지 등이 담긴 개발계획을 수립 중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그동안 외국인직접투자(FDI), 수출액, 연구개발 인력 유입 등에서 국내 최고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다만 개발률이 90%에 육박하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이뤄진 투자 유치에 따라 이미 조성된 첨단산업용지는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에 인천경제청은 가용 용지 부족 상황을 해소하고 압도적 글로벌 경쟁력이 검증된 국제공항경제권 내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통해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인천국제공항이라는 대체불가한 인프라를 통해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송도국제도시의 레드바이오(의약 기술) 기업들은 인천공항의 콜드체인 운송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장할 수 있었다. 그동안 축적된 기술, 전문인력, 연구소 등 자원들은 강화의 그린바이오 산업의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개발계획에 담길 그린바이오 단지는 대규모 첨단 화훼 단지와 스마트팜, 종자연구센터 등을 포함한다. 인천경제청은 정부 차원에서 그린바이오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어 향후 국비 지원이나 관련 기업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화군 화도면·길상면·양도면에 걸쳐 있는 강화남단 추가 지정 대상지는 약 20.26㎢에 이른다. 청라국제도시(17.80㎢)보다도 넓다. 인천경제청은 1단계에서 10.03㎢, 2단계에서 10.23㎢ 정도의 개발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 우선 1단계 사업지를 대상으로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추진한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강화남단은 인천공항 및 인천항과 바로 연결돼 수출산업화를 위한 최적의 산업 입지”라며 “강화국제도시 개발을 통해 송도∼영종∼강화로 이어지는 바이오 메가클러스터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생태계를 조성하고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