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령 여파…주한 미국대사관 “주의 기울여야”

입력 2024-12-04 11:31
윤석열 대통령이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해제를 선언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한 외국인 관광객이 계엄 반대 집회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 선포 여파로 한국 주재 외국 대사관들이 자국민 보호에 나섰다. 당분간 외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한 미국대사관은 4일 영문 웹사이트 초기화면에 적색 배너와 함께 ‘경보’(Alert)를 띄우고 ‘한국 대통령의 계엄 선포 후 미국 시민을 위한 안내’를 게시했다.

안내문에는 “계엄령 해제 발표 후에도 상황은 유동적”이라며 “미국 시민은 잠재적인 혼란을 예상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시위가 진행되는 지역은 피하고 대규모 군중, 모임, 시위 또는 집회 근처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평화적으로 의도된 시위조차도 대립으로 변하고 폭력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대사관 외에도 일본, 중국, 영국 등 주요국 대사관들도 자국민 대상 안내문을 공지했다. 주한 일본대사관은 이날 한국에 거주하는 자국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메일을 보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주한 중국대사관도 전날 긴급 공지를 통해 “안전의식을 강화하며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라”고 전했다. 이밖에 영국, 러시아 대사관도 SNS를 통해 안전을 당부했다.

주한 스웨덴대사관에 따르면 5~7일로 예정됐던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의 방한 일정도 취소됐다.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외교 일정 취소 등 계엄령 여파로 한국 외교가에도 파장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강창일 전 주일대사는 “외국에서 상대를 안 해주기 때문에 해외 순방, 해외 인사의 방한 등이 어려워질 것”이라며 “당분간 외교가 마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외국에서는 대통령 개인의 문제가 아닌 한국 정세에 대한 불안감을 볼 것”이라며 “미국이나 일본 등 우방국 입장에서는 탄핵 국면 등으로 가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