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눈으로 지샌 금융권… 당국 총력 대응, 4대 지주 긴급 회의

입력 2024-12-04 09:56 수정 2024-12-04 10:01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4일 오전 금융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국회의 해제 표결로 3시간 만에 무력화하는 사태가 벌어진 가운데 환율이 출렁이고 장 초반 코스피가 급락하는 등 금융권에 비상이 걸렸다. 금융 당국과 4대 금융지주 모두 긴급회의에 돌입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상황점검회의를 열고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금융 당국은 정책 금융 기관, 금융 협회 등과 함께 불안 확산을 방지하고 금융 시장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해나가겠다.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 40조원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최대한 가동하겠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상황점검회의 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도 열었다. 이날 회의장에서는 모든 금융 시장을 정상 운영하겠다는 방침이 정해졌다. 이 원장은 회의 후 취재진을 만나 “어젯밤 (사태 이후) 외환 시장 등이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면밀히 보겠다”라고 말했다.

KB·신한·하나·우리금융그룹도 이날 아침 지주 회장 주재로 긴급 임원회의를 열고 계엄 사태의 후폭풍을 점검했다. 이들이 논의한 것은 외화 유동성을 필두로 금융 시장 영향, 법률상 유의 사항, 내부 통제 강화 방안 등이다. 계엄은 해제됐으나 금융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임직원 간 유기적 대응을 주문했다. 정보기술(IT) 사고 예방 점검도 진행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4대 금융에서는 사태 직후 주요 계열사 최고 경영자(CEO)와 지주 최고 재무 책임자(CFO) 등이 곧바로 출근해 시장 상황을 살피고 있다. 다행히 계엄 사태는 금방 수습됐지만 시장 변동성이 커질 우려가 있어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