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은 4일 비상계엄령 해제와 관련, 10조원 규모의 증시안정펀드 등 시장안정조치를 언제든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날 오전 김 위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을 포함해 예금보험공사·산업은행·증권금융 등 유관기관장들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외환시장 및 해외한국주식물 시장은 점차 안정된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금융당국은 정책금융기관, 금융유관기관, 금융협회들과 함께 금융시장의 불안 확산을 방지하고 금융시장이 정상적,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7시에 개최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을 비롯해 최상목 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복현 금감원장 등은 주식·채권·단기자금·외화자금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증시는 10조원 규모의 증안펀드 등 시장안정 조치가 언제든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라며 “채권시장·자금시장은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을 최대한 가동해 안정을 유지하겠다”라고 설명했다. 또 “금융회사의 외환건전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증권금융을 통한 외화 유동성 공급 등을 통해 환율 상승에 따른 마진콜 위험 등에도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각 기관들은 각자 영역에서 미리 준비된 대응계획에 따라 철저하게 대응해 주기를 당부드린다”라며 “정책금융기관들은 서민, 소상공인, 기업들의 자금조달에 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용한 여력을 총동원해 자금 공급에 적극적·탄력적으로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거래소 등 증권유관기관에는 투자심리 안정 노력과 함께 주가조작, 공시위반, 시세조종 등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각 금융협회는 금융회사들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촘촘히 점검하고, 건전성 강화와 충분한 외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해 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는 작은 사고나 사건도 시장에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는 만큼 각종 금융사고나 해킹·정보유출 등 보안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통제시스템을 체크해 달라”며 “금융보안원에서는 금융시스템에 보안 사각지대가 없도록 전 금융권의 전산 보안체계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정부와 관계기관은 금융시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단행할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냉정하고 차분하게 대응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