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민주화 이후 초유의 비상계엄 선포·해제 사태를 겪은 후 현 정권의 계엄 시도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했던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의 약 4개월 전 발언이 회자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이 계엄 가능성을 처음 언급한 것은 지난 8월 윤석열 대통령이 당시 김용현 대통령경호처장을 국방부 장관에 내정했을 때다. 김 최고위원은 8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차지철 스타일의 야당 ‘입틀막’ 국방부 장관으로의 갑작스러운 교체는 국지전과 북풍(北風) 조성을 염두에 둔 계엄령 준비작전이라는 것이 저의 근거 있는 확신”이라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권은) 탄핵 국면에 대비한 계엄령 빌드업 불장난을 포기하기 바란다”며 “계엄령 준비 시도를 반드시 무산시키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명 대표도 같은 의혹을 제기하자 대통령실은 지난 9월 2일 정혜전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계엄 준비 의혹’을 “괴담 선동”으로 규정했다. 그리고 이 대표를 향해 “무책임한 선동이 아니라면 당대표직을 걸고 말하시라”고 반발했다.
정 대변인은 해당 브리핑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머릿속엔 계엄이 있을지 몰라도 저희의 머릿속에는 계엄이 없다”고 한 바 있다.
하지만 김 최고위원은 계속해서 ‘계엄 의혹’을 추궁하고 나섰다. 김 최고위원은 9월 20일 정부가 계엄을 선포할 때 국회의 동의를 받도록 하는 내용의 계엄법 개정안도 발의했다. 김 최고위원은 당시 국회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현행법에는 쿠데타적 계엄을 방지할 장치가 미흡하다”며 “법 개정으로 국민 불안의 씨앗과 계엄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