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당근’ 사기를 당하다니”…올해 중고거래 사기 8만 건 넘어

입력 2024-12-03 17:56

“당근으로 폰 사려다가 사기당했네요.” “당근마켓 사기를 누가 당하나 했는데 저였네요.”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한 중고거래가 늘면서 이를 악용한 사기 피해가 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관련한 피해 사례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올해 10월까지만 경찰에 접수된 중고거래 사기 피해 건수는 8만 건이 넘었다.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 중고거래 플랫폼들은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피해를 막기엔 역부족인 실정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 중고거래 사기는 8만1252건에 달했다. 한 달에 약 8000건씩 발생한 꼴이다. 연말 기준으로 본다면 10만 건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중고거래 사기 건수 12만3167건을 기록한 2020년을 제외하고는 평균 7~8만 건 수준이었다.

중고거래 시장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08년 4조원 수준이었던 국내 중고거래 시장 규모는 지난해 35조원으로 8배 이상 성장했다. 내년에는 4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자 수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당근,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 중고거래 플랫폼 앱 설치자 합산 수는 지난 8월 기준 3378만명, 사용자 수는 2264만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고거래가 늘면서 그만큼 사기 피해 등 분쟁도 많아졌다.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906건이었던 분쟁 조정 신청 건수는 지난해 4195건으로 4.6배 증가했다. 사기 피해 정보 사이트 ‘더치트’ 집계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중고거래 피해 접수 건수는 30만 건, 피해 금액은 2900억원에 달했다.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한 거래가 활성화하고 이에 따라 사기 피해도 늘어나면서 플랫폼의 자구적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당근의 경우 실명 인증 없이 직거래할 수 있어 피해자 구제가 어렵다는 점이 맹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회는 지난 국정감사에서 김재현 당근마켓 대표를 증인으로 불러 사기 피해 방지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정치권을 비롯해 사기 피해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당근 등 중고거래 플랫폼들은 신뢰도 제고에 힘쓰는 모습이다. 최근 당근은 서울 서초·강남·송파·동작·강동구를 상대로 한 안심결제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안심결제 서비스는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당근페이에 가입한 상태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번개장터는 지난 8월부터 결제방식을 안전결제로 일원화했고, 중고나라도 2021년부터 안전결제를 지원하는 ‘중고나라 페이’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