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돌봄 노동자 6일 파업…급식 ‘밥 대신 빵’

입력 2024-12-02 17:17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자들이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로비에서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급식, 돌봄 등을 담당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가 오는 6일 전면 총파업을 예고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은 2일 서울 용산구 학비노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6월부터 지난주까지 여러 차례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으로 구성된 사측과 교섭을 진행했지만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총파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는 전체 교직원의 41%를 차지한다. 주로 급식과 돌봄 업무를 맡고 있다. 그 외 교무실, 과학실, 도서실, 상담실, 교육복지실 등 학교와 교육기관에서 교사와 공무원의 업무를 지원한다.

학비노조는 실질임금 인상, 임금체계 개선 협의 기구 마련, 급식실 고강도 노동 및 처우 개선, 방학 중 비근무자의 생계 해결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노동환경이 열악해 6개월도 버티지 못하는 분이 늘고 있다”며 “신규 채용도 미달이고, 채용된 인원도 정년을 채우지 않고 자발적으로 퇴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학교 급식 조리실무원, 환경미화원, 경비원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대구지부가 파업에 돌입한 지난달 21일 대구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초등학생들이 빵, 우유, 계란 등 대체 급식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혜경 진보당 의원실에 따르면 학교 급식실 조리 실무사 중 자발적으로 퇴사한 비율은 올해 60.4%로 2022년(56.7%), 2023년(57.5%) 등 3년째 상승세다. 6개월 내 퇴사한 비율도 2022년 17.3%에서 올해 22.8%로 상승했다.

학비노조는 전국 17만명 비정규직 중 약 6만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파업이 이뤄지면 6일 전국 초·중·고등학교 일부 학교 점심 급식으로는 빵과 우유 등 대체식이 제공되고 돌봄 업무 등에는 대체 인력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학비노조는 지난해 3월 31일에도 같은 취지로 총파업을 했다. 당시 서울 시내 학교의 10.47%가 급식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 해당 학교의 학생들은 빵과 우유를 받았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