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는 2일 의과대학과 화순전남대병원 합동 연구팀이 중증 우울증 또는 자살 위험도를 진단키트로 조기에 확인할 방안을 찾았다고 밝혔다.
의과대학 법의학 김형석, 이수진 교수 연구팀과 화순전남대병원 전민 교수 연구팀이 협력해 자살의 원인이 되는 우울증 중증도를 평가하는 지표를 발굴했다.
질병에 대한 약물 반응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바이오마커다.
중증 우울증은 자살의 주요 원인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동안 우울증 진단은 대부분 설문검사와 정신건강 상담에만 의존해 객관성을 담보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마커는 코로나19 진단키트처럼 간편하고 언제든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에 대해 특허 출원을 마친 상태로 상용화될 경우 자살 예방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전남대 의학과 이수현(2학년), 김민하(1학년), 김소연(석사) 연구원은 자살로 판정된 시신의 뇌 조직에서 일반 사망자와 비교할 때 특이하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발굴한 후 이를 말초혈액에서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 같은 결과를 화순전남대병원 전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임상시험을 통해 실제 적용 가능성을 입증한 것이다.
연구팀은 100여 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자살 위험 가능성을 예측하는 유전자 바이오마커 3종을 개발한 뒤 기존 우울증 설문지(PHQ-9)보다 높은 정확도로 자살 위험군을 구분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했다.
특정 바이오마커를 통해 주요 우울 장애 환자의 중증도를 경증 우울증과 구분해낸 것이다. 연구팀의 성과는 앞으로 우울증 치료 과정의 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다.
생물학적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중증 우울증 판별과 사망 원인 식별은 법의학의 새로운 과학적 접근 방식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연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중장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질환극복연구사업, 전남대병원 의사과학자양성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김형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자살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됐다”며 “묵묵히 연구에 매진해 준 연구원들에게 공을 돌린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