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일 “전향적인 내수·소비 진작 대책을 강구하라”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지시했다고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소매 판매가 감소세로 접어들고 건설 한파가 계속되는 등 내수가 좀체 살아나지 못하는 상황에 따른 지시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지난달 말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산업생산과 소비·투자 지표가 5개월 만에 동반 감소하는 ‘트리플 하락’이 나타났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7일 기자회견 당시에도 “내수 진작 방안을 조금 더 전향적으로 만들어 보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각종 금융 지원, 전기료 및 택배비 지원, ‘온누리상품권’ 판매 등이 시행 중임을 언급하면서도 “그분들의 민생이 온기가 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후 임기 후반기 국정 과제로 ‘양극화 타개’를 제시했고, 정부는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을 포함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책을 범정부적으로 마련했다.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했고 2026년에는 4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 같은 경제지표가 서민 개개인에게는 충분히 체감되지 못하고 있으며, 내수 부진과 경기 둔화 신호가 오히려 강하다는 지적도 계속돼 왔다. 정부는 외식물가 등 내수 침체의 세부적 원인을 분석하는 한편 소비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