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 28일 내린 폭설로 피해를 입은 안성·평택·용인 등 경기 남부 지자체들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건의하고 나섰다. 이들 지역은 폭설로 인한 피해 추산액이 수백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1일 피해 현장을 돌아본 뒤 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긴급 소집했다. 그는 신속하게 피해를 파악한 뒤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정부와 경기도에 건의하라고 지시했다.
평택시는 가집계 결과 폭설 피해액은 농업 분야 299억원, 축산 분야 238억원 등 500억원 이상이라고 봤다. 앞으로 피해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축사 및 비닐하우스 등 농·축산시설, 공장, 소상공인 등 650여건의 사유재산 피해와 교통신호등, 가로수, 야외체육시설 등 600여건의 공공시설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안성시도 이날 피해 현장 시찰에 나선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에게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신속한 영농 복귀를 위한 재해대책 경영자금 지원, 축산분야 국·도비 보조사업 지원 확대 등을 건의했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현재까지 피해액이 35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며, 각종 시설을 복구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폭설 피해가 주민들의 생계와 지역경제에 전례 없는 타격을 주고 있다. 정부 측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이 본부장은 “시가 요청한 건의 사항에 대해서는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이 본부장은 앞서 용인시 남사읍 화훼단지 내 피해 현장도 방문했다. 이상일 용인시장도 이 자리에서 “정부에 특별재난구역 선포를 요청할 예정”이라며 피해 농가의 피해 복구 자금 마련을 위한 대출, 이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등을 모색해 달라고 건의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