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양재동·우면동 일대 약 40만㎡가 ‘AI(인공지능) 특구’로 지정됐다. AI 분야에서 지역특화발전특구가 지정된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서울시와 서초구는 지난달 28일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에서 ‘양재 AI 미래융합혁신특구’ 심의가 통과됐다고 1일 밝혔다. 지역특화발전특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화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 관련 규제 특례를 적용해 주는 제도다.
AI 특구로 지정된 양재동·우면동 일대는 삼성전자, 현대, LG, KT 등 대기업 연구소와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 300여개가 자생적으로 집적된 곳이다. AI 등 융복합산업이 발전했고 경부고속도로 등 우수한 교통망이 인근에 있어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육성할 최적의 장소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AI 특구에는 앞으로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 6개 규제 특례가 적용된다. 특허 출원 시 우선적으로 심사해 기술의 빠른 상용화를 지원한다. 외국인 비자 발급 절차를 완화하고 체류 기간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늘려 해외 우수 인력 확보를 돕는다.
서초구는 5년간 특화사업 4개와 세부사업 15개를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대 산학협력단, 카이스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협력해 ‘AI 인재 양성’, ‘AI 스타트업 창원 지원’, ‘AI 산업 활성화’, ‘AI 지원 인프라 구축’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시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캐나다 밀라, 독일 사이버밸리 등 연구기관과의 협력도 확대한다.
서초구는 특구에 약 1352억원을 투자할 경우 1000명 이상의 고용 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5년간 생산유발액 2203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195억원, 소득유발액 710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