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웅 국민적 인기 이유는…” 학계 분석까지 나왔다

입력 2024-12-01 12:30 수정 2024-12-01 13:20
지난 5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콘서트를 개최한 가수 임영웅. 물고기뮤직 제공

가수 임영웅(33)이 국민적 인기를 얻게 된 데에는 특유의 절제하는 창법과 트로트에 국한되지 않는 다채로운 레퍼토리가 영향을 미쳤다는 학계 분석이 나왔다.

김희선 국민대 교수와 김희선(동명) 경기대 교수는 지난 30일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열린 제35회 한국대중음악학회 정기 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두 교수는 임영웅이 여타 트로트 가수들과 구분되는 창법과 레퍼토리로 큰 인기를 얻게 됐다고 분석했다.

창법의 경우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속으로 삼키는 방식을 구사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특징은 오디션 프로그램 ‘미스터 트롯’에서 경연곡으로 선보인 노사연의 ‘바램’ 무대에서 돋보인다고 했다.

두 교수는 “‘바램’과 같은 곡은 음역 폭이 좁고 대체로 낮아 자칫 내지르기 쉬운 노래”라며 “임영웅은 후렴 중 크고 힘차게 부르다가도 절제하며 삼키는 듯한 감정 처리를 함으로써 다른 해석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지난 5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콘서트를 개최한 가수 임영웅. 물고기뮤직 제공

가사를 읊조리는 듯 부르면서 발음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것도 특징으로 꼽았다. 일례로 ‘ㅅ’ ‘ㅆ’ 등의 자음이 만들어내는 치찰음은 대중가요 보컬에서 거슬리는 소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임영웅은 치찰음을 자주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두 교수는 임영웅이 2016년 트로트 가수로 데뷔한 뒤 2020년 ‘미스터 트롯’에서 우승한 직후에는 트로트 위주로 활동했으나 점차 록·댄스·힙합·포크·재즈 등 장르를 확장하면서 다채로운 레퍼토리를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임영웅이 댄스와 록 장르 곡에서는 트렌디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발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고 짚었다.

지난 5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콘서트를 개최한 가수 임영웅. 물고기뮤직 제공

임영웅이 스타디움 콘서트를 매진시키는 거대한 팬덤을 보유한 것도 이러한 장점 덕분이라고 했다. 두 교수는 “팬들은 트로트 본연의 창법을 벗어나는 절제된 창법, 편안한 음색, 진정성 있는 목소리, 가사 전달력, 위로가 임영웅의 본질이며 임영웅을 사랑하는 이유라고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임영웅은 트로트를 넘어 아티스트의 면모를 갖추며 국민가수로서의 명성을 얻고 임영웅이라는 장르를 구축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대중음악학회와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가 공동 개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임영웅을 주제로 그의 음악과 그를 둘러싼 담론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장유정 단국대 교수는 학술대회에서 언론 기사를 바탕으로 임영웅과 관련한 키워드를 분류했고, 권정구 충북대 교수는 임영웅 노래의 저작권 현황을 분석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