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중국과 러시아의 군용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을 진입한 것에 대해 유선으로 항의했다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우경석 지역안보협력TF장은 29일 오후 왕징궈 주한 중국 국방무관과 니콜라이 마르첸코 러시아 국방무관에게 유선을 통해 KADIZ 진입에 대해 항의했다. 이어 중국과 러시아 측에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촉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9시35분께부터 1시53분께까지 중국 군용기 5대와 러시아 군용기 6대가 동해와 남해 KADIZ에 차례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영공 침범은 없었으나 양국의 폭격기와 전투기 등이 진입해 연합 공중훈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군용기는 이어도 쪽에서 한국과 일본 사이를 거쳐 독도 쪽으로 향했고 러시아 군용기는 북동쪽에서 독도를 향해 남하했다. 이들은 독도 남방 해상에서 일정 시간 비행을 함께하고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KADIZ는 개별 국가의 주권 사항인 영공과는 달리 자국 영공으로 접근하는 군용 항공기를 조기에 식별해 대응하기 위해 설정하는 임의의 선이다. 다만 KADIZ에 진입하는 군용 항공기가 있다면 해당 국가에 미리 비행계획을 제출하는 것이 국제 관행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2019년부터 연간 1~2차례 군용기를 KADIZ에 진입시키고 있지만 사전 통보를 하지 않고 있다.
국방부는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사전 통보 없이 한국 KADIZ에 진입해 장시간 비행한 데 대해 양국에 유감을 표명했다”며 “이러한 행동이 불필요하게 역내 긴장을 조성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재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했다”고 밝혔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