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탓이다. 지방 거래는 한 달 새 24% 증가했다.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000건으로, 전월보다 19.2% 감소했다. 지난 4월(4840건)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적은 거래량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지난해 12월 1790건에서 올해 7월 9518건으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출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8월(7609건)부터 꺾이기 시작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적용이 시작된 9월에는 4951건으로 줄었다.
지난달 서울을 포함해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2만5011건으로 3.2% 줄었다. 다만 대출 규제를 덜 받는 지방 거래량은 증가했다. 10월 지방 주택 매매 거래량은 3만1568건으로, 전월보다 24.1% 늘었다. 이에 10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6579건으로 전월 대비 10.4% 증가했다.
미분양도 지방을 중심으로 일부 해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10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5836가구로 전월보다 1.4%(940가구) 줄었다. 미분양은 지난 7월부터 넉 달 연속 감소세다. 수도권 미분양(1만3948가구)이 0.4% 증가했지만, 지방(5만1888가구)은 1.9% 감소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인천을 중심으로 계속해서 늘고 있다. 10월 말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1만8307가구로, 한 달 새 1045가구(6.1%) 증가했다. 2020년 7월(1만8560가구)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준공 후 미분양은 대부분 인천에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 악성 미분양은 9월(555가구)보다 10월(1547가구)로 한 달 새 3배 가까이 늘었다. 전국에서 전남의 악성 미분양이 2480가구로 가장 많았다. 경기(1773가구)와 부산(1744가구)이 뒤를 이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