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울코어’ 밑그림 공개…“대한민국 도약 중심”

입력 2024-11-28 18:06
오세훈 서울시장이 28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공동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00층 높이의 랜드마크 빌딩이 들어설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밑그림이 공개됐다. 서울시는 ‘마지막 남은 노른자 땅’으로 불리는 49만5000㎡ 규모의 옛 용산 철도 정비창 부지를 정치·경제·여가 기능이 집약된 글로벌 허브로 고밀 개발할 방침이다.

또 3조5780억원을 들여 이 일대 광역교통망을 개선하고, 주택 6000호 등 1만3000호의 주거시설도 공급한다. 사업비 51조1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도심 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28일 용산 철도 정비창 일대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 개발계획을 고시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정비창 부지를 국제업무지구와 녹지를 갖춘 융복합지구로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착공은 내년 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2028년부터 건축물을 짓기 시작해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의 입주가 시작될 전망이다.

부지는 국제업무·업무복합·업무지원·복합문화 4개 구역, 20개 블록으로 개발된다. 가장 중심부에 있는 국제업무존에는 최고 100층 안팎의 랜드마크 건물이 들어선다.

시는 해당 지역을 건축물 용도와 밀도 규제가 없는 화이트존인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현재 허용된 용적률은 최대 1000%, 최고 100층 내외다. 하지만 향후 이곳이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되면 일부 획지에 한정해 용적률이 최대 1700%까지 적용된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노들섬까지 걸어갈 수 있는 보행교도 설치할 방침이다. 지구 내에서 정치(대통령실), 경제(용산국제업무지구), 문화(용산공원) 기능도 연결하기로 했다.

또 주변부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고, 용산의 중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3조57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시행한다. 아울러 1만3000호의 주거시설을 확충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 6000호를 공급하고, 민간 주도 사업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지구 밖 반경 1㎞ 안에 7000호를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시와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이날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을 위한 공동 협약을 체결했다. 또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새 이름은 국민 선호도 조사를 거쳐 ‘용산서울코어’로 확정했다. 서울의 중심(CORE)을 넘어 미래 아시아태평양의 중심이자 핵심(CORE)으로 도약한다는 의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대한민국의 미래 국가 경쟁력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경제를 활성화하고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