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교가 140년간 걸어온 길을 되짚어보고 전문선교로 선교 방향성을 제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교회법학회(이사장 소강석 목사)와 한국교회미래재단이 28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한국교회 14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한국이 근현대사로 들어가는 계기는 19세기 선교사와 함께 서양 문물이 들어온 것이다.” 박명수 서울신대 명예교수는 한반도의 역사적 흐름에 기독교가 사회적으로 다른 역할을 감당했다며 개항기 기독교와 함께 유입된 서구 사상에 대해 네 가지로 설명했다. 박 교수가 언급한 것은 우주를 창조한 절대자의 발견, 개인 자유의 발견, 근대문명을 위한 기관 설립, 민족주의와 민족 언어 한글의 재발견이다. 그는 “한반도에 서구문화는 무역이 아닌 선교를 통해 들어왔다”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한국 기독교는 일본이 조선의 모든 것을 일본화하려는 ‘내선일체론’을 내세울 때도 통합되지 않았다”며 “한국 기독교는 미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며 후에 식민지배를 반대할 수 있는 탈출구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한국 기독교가 당시 조선을 세계와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감당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박 교수는 “6·25전쟁 당시 한국 기독교는 강력한 반공과 자유민주주의 이념의 보루가 됐고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는 부흥 운동을 통해 희망을 불어넣었다”고 밝혔다.
기독교가 과거 한국사회가 요구하는 대사회적 역할을 감당했다면 다변화 시대 속 한국교회 역할을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다문화선교 교정시설선교 군선교 등 전문선교에서 그 해답을 찾는다. 구병옥 개신대학원대 교수는 증가하는 국내 이주민 규모를 제시하며 한국교회에 이주민 선교를 제안했다. 구 교수는 “한국 전체 인구 중 체류 외국인 수가 5%를 넘어서면서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다인종·다문화 국가가 됐다”며 “해외 선교와는 별개로 다문화 환경에 맞는 이주민 선교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위 특수선교라고 하는 교정시설선교와 군선교에 관한 논의도 이어졌다. “한 나라의 인권을 보려면 그 나라의 교도소를 가면 알 수 있다.” 이 문장을 소개한 김영식 소망교도소 소장은 “교정시설 피구금자 인권의 중심에는 종교자유 등 종교적 행위의 자유 실태와 관련성을 가진다”고 했다. 이어 한국의 교정시설 기독 선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안했다. 김 소장은 “교정시설에 주일예배 회복 등 종교활동의 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또한 수용자가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상근 교목 제도를 회복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그는 법적 절차 외에도 한국 기독교에 교정시설에 대한 확산과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앞서 지상 작전사령부 군종실장 정비호 대령은 ‘군선교 현황과 교회의 과제’를 주제로 강연했다. 정 대령은 ‘군선교비전 2020 실천 운동’을 소개했다. 이 운동은 한국교회 연합선교운동으로 군 내 진중 세례를 통해 민족 복음화를 이루겠다는 선교 과제다. 통계에 따르면 1992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30년 동안 진중 세례를 통해 배출된 인원은 약 460만 명이다. 정 대령은 “한국교회가 ‘군선교비전 2030’을 붙잡고 청년 선교지인 군 선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글·사진=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