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가 고려인을 진정한 이웃으로 섬겨 관심 가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고려인은 1910년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의 식민 지배에 반대하거나 토지를 잃어 러시아로 이주한 역사를 가진다. 현재는 러시아를 비롯해 독립국가연합 전체에서 거주하며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들을 칭한다. 2022년 기준 국내 거주 고려인은 약 9만8000명이다. 이들 규모가 10만 명에 육박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한국 교육과 정책 밖에 있다.
인천광역시 산업정책과는 2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고려인 정착을 위한 정책제안 포럼’을 열었다. 동시에 한국창조인재개발원(이사장 이경환) 함박웃음(대표 김종완 장로) 에버그린복지재단(이사 김창만 장로) 등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단체가 포럼을 주관했다.
그리스도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단체가 한자리에 모인 이유는 한국교회 비전이 디아스포라를 섬기는 방향과 일치한다는 것을 제시하기 위해서다. 김창만 장로는 “우리가 고려인을 품고 이들과 통합하려는 자세가 기독교 정신과 맞닿아 있다”라며 “경쟁 사회에서 벗어나 교회가 소외된 이들을 돕는 일에 힘써야 한다”고 요청했다. 김종완 장로는 “고려인들은 한국에서 언어 직업 등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교회가 고려인들에 관심을 두고 진정한 이웃으로 여기며 하나님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최미하일 전국고려인건설업네트워크 대표는 고려인 3세다. 최 대표는 “중앙아시아에서 자랑스럽게 한국인으로 불렸지만 정작 고국에서는 외국인으로 여겨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조부모님 부모님은 강한 민족 자부심을 느끼고 고국으로 귀환을 바랐다. 이제 한국의 과거뿐 아니라 현재와 미래 일원이 되고 싶다”고 전했다.
글·사진=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