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첫날부터!” 트럼프 관세 폭탄에 中·캐·멕 ‘초비상’

입력 2024-11-26 18: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화당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 유세에서 군중을 바라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5일(현지시간) 집권 2기 첫 ‘관세 폭탄’ 대상국으로 지목한 중국·캐나다·멕시코는 미국의 3대 무역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 3개국과 연계된 미국 내 일자리는 자동차·식품·서비스업 등에서 수천만개로 추산된다.

자국 산업 타격까지 불사하는 트럼프 당선인의 초강경 관세 카드를 놓고 상대방을 위축시켜 주도권을 잡는 특유의 협상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조율할 시간이 부족해 결국 강행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중국은 즉각 반발했고, 캐나다는 정상 간 대화로 회유에 나섰다.

류펑위 주미 중국대사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중국은 미국과의 경제·무역 협력이 본질적인 상호 이익이라고 믿는다”며 “무역·관세 전쟁에서 승자는 없다”고 밝혔다.

특히 트럼프가 중국산 펜타닐 마약의 미국 유입을 관세 인상의 명분으로 제시한 데 대해 류 대변인은 “지난해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합의 이후 중국은 마약 밀매에 대처했고, 관련 법 집행의 진전 사항을 미국에 전달했다”며 “이는 중국이 펜타닐 전구체의 미국 유입을 묵인한다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 8월 중국 공안부가 펜타닐 원료인 노르펜타닐 등 전구체 3종에 대한 통제에 들어가자 환영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트럼프와 직접 대화에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캐나다 측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가 캐나다·멕시코에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직후 트뤼도 총리와 대화하며 통상무역과 국경 안보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로이터에 “우호적인 논의였으며 두 정상은 계속 연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의 25% 관세 부과 선언과 관련해 즉각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멕시코 페소화가 하루 만에 1.3%나 급락해 2022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가는 등 금융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트럼프는 집권 1기 때인 2019년에도 불법 이민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모든 멕시코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실제 조치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트럼프가 공언한 대로 중국과 캐나다, 멕시코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산업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9월까지 전체 수입품의 42%를 이들 3국에서 들여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세 나라는 미국 내 수천만개의 일자리와 연계됐고 상품과 서비스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며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는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 농업, 식품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AP통신은 “트럼프의 공언이 취임 전 협상 전략인지, 그대로 시행하는 건지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협상용 카드일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NYT는 “트럼프가 취임 첫날 강행하겠다고 예고한 만큼 연기나 철회 협상을 할 시간이 거의 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