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개성공단 전력공급용으로 남측이 지어준 송전탑 철거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의선·동해선 육로를 폭파한 북한이 남북 단절 조치를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군 수명이 지난 24일부터 군사분계선(MDL) 이북 경의선 일대에 설치된 송전탑에 올라 송전선을 자르는 모습을 포착했다고 26일 밝혔다.
군 관계자는 “(남측과 연결됐던) 북한에 있는 첫 번째 송전탑에 있는 선을 잘랐고, 끊은 선을 송전탑 밑에 쌓아뒀다”며 북한이 송전탑까지 철거에 나설지는 계속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철탑 형태인 송전탑은 북한이 지난달 15일 폭파한 MDL 바로 북쪽 지점부터 개성공단까지 연결되는 경의선 도로에 수백m 간격으로 지어져 있다.
해당 송전탑은 우리 측이 설치한 자산이다. 한국전력은 2007년 1월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총 48기의 송전탑을 완공했다.
송전탑은 그간 남북 관계에 따라 전력 공급 및 중단을 반복했다. 이후 2020년 6월 북한의 일방적인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를 기해 전력 공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 송전탑 철거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북 적대적 교전국’ 선언 이래 남북 연결을 끊어 온 움직임의 선상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