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동 주미대사는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관련해 “정부는 미국 행정부 변화와 상관없이 최상의 한미 동맹을 발전시키는데 최우선 방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조 대사는 이날 워싱턴DC 한국 문화원에서 특파원단 간담회를 열고 “우리 정상(윤석열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의 통화는 의례적 당선 축하를 넘어 조선 협력 등 실질적 의견을 교환했다”며 “첫 단추가 잘 끼워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나도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을 포함해 트럼프 당선인과 가까운 공화당 중진 의원들과 다양하게 소통해왔다”며 “우리 재계를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크 바탕으로 트럼프 2.0 시대에 대비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조 대사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등 러북 군사 밀착 상황과 날로 거칠어지고 있는 북한의 대남 위협, 미 행정부 교체기의 중대 도발 가능성 등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와는 판이하게 달라진 한반도 안보 상황에서 한미 양국의 확장억제(미국의 핵우산 제공)를 포함한 연합 방위 태세가 공고하게 유지되고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미국 측과 계속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대사는 또 “트럼프 2기 행정부 경제통상정책 기조의 변화가 우리 경제와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관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 등 현시점에서 예상 가능한 경제 현안들을 미리 관리하고, 우리 기업에 우호적인 여건 조성을 위해 필요한 노력을 다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 “양국이 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상호 시너지를 창출해 왔듯이 기존 협력 분야 외에 조선, 인공지능(AI), 퀀텀(양자 컴퓨팅), 방산, 원전 등 전략산업 분야에서도 협력 확대를 적극 모색함으로써 트럼프 2.0 시대에 도전 요인은 최소화하고, 기회 요인은 최대화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 1월 트럼프 당선인의 공식 취임 뒤 조기에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 측은 취임 전까지는 로건법(Logan Act) 등 미국 법규와 관행 등을 고려해 외국 정상과 회담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하고, 관련 내용을 한국 정부 등에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로건법은 미국 시민이 허가 없이 외국 정부와 협상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다.
글·사진=워싱턴 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