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 日추도사 등 합의수준 미달 때문”

입력 2024-11-25 20:52 수정 2024-11-25 21:21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서 한국 유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교부는 25일 일본이 주관한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한 것과 관련해 “일본 추도사 내용 등 추도식 관련 사항이 당초 사도광산 등재 시 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미 밝힌 대로 우리 정부가 일본 측 추도식에 불참하고 우리 자체 추도 행사를 개최한 것은 과거사에 대해 일본 측과 타협하지 않겠다는 우리 정부의 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정부는 추도식 전날인 23일 불참 결정을 알리며 별다른 설명 없이 “제반 사정을 고려한 것”이라고만 말했다. 그런데 이날 처음으로 한국 입장이 관철되지 못한 추도사 등이 한일 합의 정신에 어긋난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이는 일본이 지난 7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투표권을 쥔 한국이 반대하지 않는 조건으로 노동자 추도식 등을 약속했으나, 추도식이 당초 취지대로 치러지지 않을 것으로 보여 불참을 결정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한국 정부의 입장은 일본 교도통신이 추도식에 참석한 일본 정부 대표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력과 관련해 정정보도를 낸 직후 나왔다. 교도통신은 이날 일본 대표인 이쿠이나 정무관이 2022년 8월 15일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고 보도한 것은 오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부가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추도식 불참 결정은 제반 사정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정부의 불참 결정이 이쿠이나 정무관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논란에만 국한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인 강제 동원 등 노역의 강제성과 유감 및 사과 표현이 빠진 일본 측 추도사 등을 고려했을 때 추도식 보이콧이 불가피했다는 것이다.

한·일 정부는 협의 과정에서도 추도식 성격을 두고 견해차를 드러낸 바 있다. 일본 측이 행사 명칭에 강제성을 희석할 우려가 있는 ‘감사’라는 표현을 포함하려 했으나, 한국 정부의 반대로 제외됐었다. 또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의 일원인 니가타현 지사가 행사 전 추도식을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는 것을 관련된 분들에게 보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의 추도식 불참과 관련, “유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