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가 연계 해커 집단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대상으로 최소 9건의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으며 한국도 최근 표적이 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팩 맥패든 랭커스터 장관이 25일 런던에서 열리는 나토 사이버안보회의에서 발표할 연설문을 선공개했다.
랭커스터 장관은 국가 안보를 책임지는 특정 부처를 이끌지 않는 장관직으로 내각부에서 총리 다음인 2인자다.
그는 연설문에서 크렘린궁과 연계된 ‘비공식적’ 핵티비스트(정치·사회적 목적을 가진 해커) 단체가 전 세계에서 점점 더 빈번하고 세밀한 공격을 자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사이버 공격으로 수백만 명의 불을 꺼버릴 수 있고 전력망을 닫을 수 있다”며 “적대성의 규모 측면에서 나토에 대한 사이버 위협을 회원국들은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위협은 실질적”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이러한 공격에는 최근 러시아가 북한군 파병에 대해 대응한 한국을 표적으로 삼은 것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달 초 한국 정부 부처·주요 기관에서 잇달아 발생한 디도스 공격(분산서비스거부)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한국 국가안보실도 지난 9일 친러시아 핵티비스트 그룹의 사이버 공격이 북한군 파병 이후 빈번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랭커스터 장관은 이 같은 해커단체들이 크렘린궁에 직접 통제받지는 않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반하는 활동을 하지 않는 한 사실상 면죄부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BBC는 랭커스터 장관이 연설에서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러시아의 ‘29155 부대’를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29155 부대는 러시아 군 정보기관 총정찰국(GRU) 산하 특수부대로 영국과 유럽에서 다수의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진다.
영국은 지난 9월에도 미국, 유럽연합(EU) 정보당국과 함께 29155 부대가 국가 중요 기간시설을 공격 목표로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박상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