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다음 달 6일까지 ‘가족돌봄청소년 집중발굴 기간’을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가족의 돌봄과 생계를 책임지는 청소년, 이른바 ‘영케어러(Young Carer)’의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한다.
가족돌봄청소년은 고령자, 장애인, 질환자 등 돌봄이 필요한 가족을 부양하거나 생계를 책임지는 9~39세 청년층을 뜻한다. 이들은 돌봄과 가사 부담을 장기간 떠안으면서 경제적 어려움과 정서적 고립감에 시달리며, 학업이나 미래를 준비하는 데 큰 제약을 받는다.
이에 시는 발굴된 가족돌봄청소년을 대상으로 ‘일상돌봄 서비스사업(사회서비스 바우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16개 구·군에서 시행되며,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과 중장년층을 위해 재가돌봄과 가사 지원을 월 최대 72시간까지 제공한다. 또 심리지원과 식사영양관리 등 맞춤형 서비스도 마련해 지원한다. 소득 수준에 따라 일부 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신청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다.
시는 지난 8월 월드비전 부산사업본부와 협약을 맺고 가족돌봄청소년을 위한 통합지원사업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발굴된 대상자들에게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연결하고, 생활 안정과 정서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배병철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가족돌봄청소년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신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찾아내고 지원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며 “청소년들이 짊어진 부담을 덜고, 본인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시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