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우크라 종전되면 ‘트럼프 노벨상’ 추천 참여”

입력 2024-11-25 10:37 수정 2024-11-25 10:38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종전이 실현된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당선인)에 대한 노벨평화상 추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반도 평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둘러싼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며 “트럼프 당선인이 조기 종전을 여러 차례 공언했고 1기 정부에서 러시아, 중동, 북한과 관련해 평화적 해결을 노력했던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와 민주당은 트럼프 당선인의 강인한 리더십과 종전 의지가 실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응원한다”고 덧붙였다. 1000일을 넘긴 이번 전쟁을 환기하며 평화의 메시지를 강조한 것이다.

이 대표 발언은 북한의 러시아 파병 문제에 적극적 대처를 언급했던 윤석열정부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살상 무기 지원 가능성까지 열어둔 단계적 조치를 언급했다가 최근 트럼프 당선인 측이 확전 경계 메시지를 낸 이후 신중 행보로 전환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정부가 조 바이든 행정부와의 관계를 고려해 트럼프 당선인 측에 적극적 협력 메시지를 내지 못한 틈도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한국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표는 전날 개최된 일본 사도광산 ‘반쪽 추도식’ 논란에도 입을 열었다. 그는 “정부의 처참한 외교로 사도광산 추도식이 강제동원 피해노동자 추모가 아니라 일본의 유네스코 등재 축하행사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해방 이후 최악의 외교 참사”라며 “1500여명의 조선인 강제동원은 사라져버린, 대한민국 정부 스스로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한 최악의 외교역사로 기록될 것”이라고 힐난했다.

일본 사도광산은 연일 논란의 중심에 서고 있다. 앞서 추도식에 참석하기로 한 일본 정부 대표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전력 등에 논란이 커지며 정부는 공식 불참했다. 일본 니가타현에 있는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1200∼1500명이 동원돼 강제노역했던 장소다. 지난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정부는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일본 정부는 등재 전 한국인 노동자를 기리기 위한 전시물 설치와 추도식을 약속했지만, ‘강제’라는 단어를 삭제한 채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박장군 송경모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