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 ‘친위대’ 전락한 전략추진단…시대착오적 ‘의전’과 ‘측근 챙기기’

입력 2024-11-24 11:24 수정 2024-11-25 22:25

‘입틀막’부터 ‘옥상옥’ 논란까지….

민선 8기 광주시 핵심부서인 광주전략추진단이 강기정 시장 ‘친위대’로 전락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2022년 8월 조직개편 때 공공기관 통폐합 등을 위해 광주전략추진단을 신설했다. 이후 공공기관 혁신과 함께 정책포럼·월요대화 운영, 공사·공단 이사회 관리, 공공기관장 경영평가 등을 전담하도록 했다.

전략추진단은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예산·조직 체계 등의 비효율을 제거하고 전국 최초의 가사·농민·참여 등 일명 ‘3대 수당’ 공약 실천 등을 주도해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3대 수당 업무 등이 다른 부서로 이관되거나 여러 정책 기능이 축소되면서 본질적 혁신 추구 대신 시장 ‘심기 경호’와 ‘측근 챙기기’에 몰두한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시 산하 29개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순회 개최 중인 ‘강기정 시장 현장 방문 간담회’ 과정에서 불거진 ‘질문 제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전략추진단은 시장 방문에 앞선 업무연락 문서를 통해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이야기’로 시민 프로축구단인 광주FC, 육아, 맛집, 종교 등을 구체적으로 꼽았다.

여기에 증원, 보수(급여), 청사 이전 등 건의사항과 사전 검토가 되지 않은 질문도 불쾌감을 줄 수 있으니 시장 앞에서 절대 언급하지 말라고 사전 주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님 커피 안드심, 따뜻한 레몬티 정도 준비’ ‘시장님과 함께 하는 퍼포먼스(이벤트) 너무 길거나 지루하지 않게 준비’ 등도 미리 주문했다.

현장의 목소리를 서슴없이 듣겠다는 간담회 취지와 달리 ‘입틀막’을 하고 권위주의 시대나 다름없는 과도한 의전을 강요한 셈이다.

이뿐 아니다. 전략추진단은 강 시장 주요 공약의 신속한 실현을 명분으로 시정 현안을 총괄하면서 공공기관 내 위원회에 시장 측근을 앉히도록 하는 등 권한을 남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다수의 공공기관장과 직원들은 “예전에는 소관 감독부서와 협의해 시장에게 보고하면 충분했는데 언제부터인가 추진단을 또 한 번 거쳐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본래의 출범 의도와 달리 중복되거나 반복되는 업무지시, 시장 의중과 측근 챙기기, 치적 홍보를 위해 갑질을 일삼는‘친위대’로 군림했다는 것이다.

최측근 조직인 전략추진단이 오히려 내부 혁신을 가로막는 ‘옥상옥’이 되고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간담회 ‘질문 제한’ 논란 이후 전략추진단이 핵심 정책에 대한 효율적 전략방안보다 시장 이미지 관리·의전에만 치중하고 관치시대보다 더한 직원 줄세우기에 몰두한다는 부정적 여론은 더 고조되고 있다.

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은 2년여 동안 주요 공공기관 혁신, 구조개선 성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며 공공기관 성패에 직결되는 추진단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시의회는 전략추진단의 내년 예산 전액 삭감을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간담회 질문 제한 논란이 제기된 직후 내부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변명의 여지 없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사과하고 전략추진단장(4급)을 하향 무보직 발령했으나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지적이다.

시민단체 참여자치21 관계자는 “광주시장은 광주의 윤석열이 되고자 하느냐”며 “저출산 문제를 앞장서 해결해야 할 마당에 육아 이야기를 사전에 막고 광주의 상징인 무등산도 시장 앞에서 절대 얘기하지 말라고 한 행태가 한마디로 가관”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