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3개국을 통해 대량의 필로폰을 국내로 밀반입한 일당이 경찰에 검거됐다.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는 21일 특정범죄가중법(향정), 마약류관리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총책 A씨(57·나이지리아) 등 18명을 입건하고 이 중 15명을 송치했다고 밝혔다.
A씨는 아직 검거되지 않았다. 경찰이 우선 검거한 17명 중 11명은 밀수·판매자, 6명은 매수·투약자다. 이 중 마약 운반책 등 6명은 구속됐다. 경찰은 A씨에 대해 인터폴 적색수배를 요청하고 지난 9월 경찰청이 주최한 ‘국제 마약수사 컨퍼런스’에서 나이지리아 마약단속청에 공조를 요청했다.
A씨는 한국에 7년간 거주하다가 대마를 판매해 추방당한 인물로 나이지리아 현지에서 국내에 마약류를 밀반입하는 범행을 여러 차례 반복한 것으로 파악됐다.
A씨 조직은 지난해 12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올해 4월과 10월에는 각각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필로폰을 국내로 밀반입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이 들여온 필로폰은 모두 8㎏ 상당이다.
경찰은 2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시가 200억원 상당 필로폰 6.15㎏을 외국인 운반책으로부터 압수했다. 나머지 약 2㎏은 경찰이 사건을 인지하기 전에 이미 국내에 유통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조직은 통관을 피하기 위해 교묘하게 마약을 숨겨 국내로 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멕시코에서는 시중에 판매하는 초콜릿 포장지에 필로폰을 포장해 들여왔고, 캐나다에서는 배낭의 등판 부분을 뜯어내 진공 포장된 필로폰을 숨긴 뒤 마약 탐지견이 냄새를 맡을 가능성에 대비해 배낭을 담은 캐리어에 커피 가루를 뿌렸다.
이들은 온라인에서 ‘한국에서 대출이나 투자금을 받을 수 있게 해주겠다’며 포섭한 60~70대 외국인 운반책, 이른바 ‘지게꾼’에게 마약류를 운반하게 해 단속을 피했다. 경찰에 붙잡힌 운반책들은 ‘복권 당첨금 수령’ ‘국제연합(UN) 후원금 관련 계약’ 등 목적으로 국내에 입국했다. 이들은 마약 운반 사실을 몰랐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인터폴 적색수배한 A씨에 대해서는 국정원·현지 마약청과 공조해 현지 검거 후 엄중한 사법 처분을 받게 할 계획”이라며 “모르는 외국인이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접촉하는 경우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주원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