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해를 준비하는 목회자가 일관성과 개성을 살려 예배를 디자인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025년이 40일 앞으로 다가온 21일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감독회장 김정석) 서울연회 부흥전도단이 서울 성동구 금호제일교회(김형석 목사)에서 예배세미나를 열었다. ‘2025년 예배를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내년도 목회를 구상하는 시점에서 예배의 본질을 재확인하고 목회자의 예배자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강사로 모인 김형석 목사와 안덕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 교수, 박해정 감리교신학대 교수는 예배에 익숙한 목회자가 예배자로서 정체성을 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 목사는 “목회자가 설교하는 자, 예배를 집례하는 자에 매몰돼 예배 참여자라는 사실을 놓칠 수 있다. 경계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예배에서 사람이 드러나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한 연습과 계획이 필요하다”며 “설교가 교회표어 말씀 찬양 설교제목 등 예배의 순서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배는 사람이 은혜받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께 찬양과 경배드리기 위함”이라며 “목회자가 자신의 취향과 기분에 따라 예배 요소를 선택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안 교수 역시 목회자의 삶과 언어, 교회의 목회 방향과 예배가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에 동의했다. 코로나 이후 급속도로 증가한 정보의 유입은 목회자가 명확한 목회철학과 개성을 가져야 하는 필요를 높였다. 안 교수는 한국교회가 ‘무분별한 따라하기’를 멈추고 개교회의 개성을 살리길 요청했다. 그는 “한국교회가 수치화 양적 성장에 연연하는 모습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성도들을 예배 준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거나 여러 예배 방식을 조합하는 창조적 시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어 “다양한 방식을 도전하는 과정에서 설득력과 민주적 절차를 거치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가 예배 공간을 자연광과 인공조명의 조화, 영대(스톨) 꽃꽂이 등을 통해 미학적으로 구성하라고 제언한 것 역시 개성있는 예배의 구상 요소 중 하나다. 영대는 목회자들이 세례 등을 수행할 때 입는 예복의 일부다. 박 교수는 “목회를 구체적으로 디자인하는 방식은 다양하다”며 “설교 때 사용하는 언어와 세례 때 사용하는 그릇과 행위의 예술성을 고민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사진=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