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료 공백’ 비판에…공보의·군의관 파견 개선방안 논의

입력 2024-11-21 14:04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이 지속하자 정부가 현장에 군의관과 공보의를 투입해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기로 밝힌 지난 3월 오전 서울의 상급 종합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가 분만·응급·소아 취약지역에서 공중보건의(공보의)를 차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군의관은 파견 전 의료기관의 요청을 받는 절차를 도입하기로 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은 21일 중대본 회의에서 공보의·군의관 파견제도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박 차관이 밝힌 개편안에 따르면 비연륙도서(12개 시·군, 42개 도서)와 분만·응급·소아 3중 취약지역(22개군)은 공보의 차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공보의 파견지 기준도 동일 도내 파견을 원칙으로 한다.

군의관의 경우 파견일로부터 최소 1주일 전 의료 현장 임시 배정 절차를 밟고 의료기관에서 직접 군의관 파견을 요청하도록 하는 절차를 도입한다.

박 차관은 “군의관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 배정되고 의료기관은 의료기관 출신의 군의관을 파견받아 환자 진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박 차관은 17일 열린 제2차 여야의정협의체 전체회의도 언급하며 “의대 정원, 의사인력수급추계위원회 운영 등 여러 안건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의료정상화를 위해 대화를 포기하지 않고 의료계와 지속 소통해 길을 찾겠다”며 “의사협회·전공의 등 다른 의료계 단체도 열린 마음으로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전공의 의료현장 이탈로 지난 2월부터 공보의와 군의관이 비상진료체계 유지에 투입되고 있다. 의료 취약지에서 차출되기도 해 지역의료 공백을 야기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김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