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 유·사산 휴가 5일→10일로… 내년 2월 23일부터

입력 2024-11-20 13:39 수정 2024-11-20 13:40
게티이미지 뱅크

임신 11주 내 유·사산할 시 사용할 수 있는 ‘임신 초기 유·사산 휴가’ 기간이 현행 5일에서 10일로 늘어난다.

고용노동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남녀고용평등법·고용보험법·근로기준법(육아지원 3법) 하위법령 일부 개정령안을 다음 달 30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올해 9월 국회를 통과해 내년 2월 23일 시행 예정인 육아지원 3법의 세부 사항과 임신 초기 유·사산 휴가를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우선 임신 초기 유·사산 휴가 기간을 현행 5일에서 10일로 늘린다. 지난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으로 고령 임신부의 증가로 유·사산이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했다.

유·사산을 겪은 여성 근로자가 기존 5일 휴가로는 건강을 충분히 회복할 수 없다는 현장 의견을 반영했다고 한다.

중증장애아동·미숙아·고위험 임신부 등 육아지원 3법 개정안에 나오는 대상도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육아지원 3법 개정 주요 내용. 고용노동부 제공

개정된 육아지원 3법에 따르면 육아휴직 기간은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에만 1년에서 1년6개월로 연장된다. 한부모나 중증장애아동의 부모는 해당 조건 없이 연장할 수 있다.

중증장애아동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른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중증)’로 규정했다.

현행 90일인 출산 전후 휴가는 미숙아가 출생 후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경우 100일로 늘어난다.

미숙아는 임신 37주 미만 출생아 또는 체중 2.5㎏ 미만 영유아, 입원 시점은 출생 후 24시간 이내로 규정했다.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을 임신 기간 전체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고위험 임신부의 범위도 명시했다. 다태임신, 당뇨병, 출혈 등 복지부의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 대상인 19가지 위험 질환을 진단받은 임신부다.

김문수 노동부 장관은 “부모가 함께 부담 없이 일·육아 지원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면서 임신·출산·육아 과정에서 지원이 더 필요한 분들을 세심하게 살펴 제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상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