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이 되면 현금을 뽑아서 다닌다는 전모(27)씨의 붕어빵 단골 가게가 사라졌다. 그는 “지난해까지 영업을 했었는데 허탈하다”며 “붕어빵 가게 위치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찾아간 다른 곳도 장사를 하지 않더라. 10개씩 사서 냉동실에 쟁여놓는 게 소소한 행복이었는데 지난해부터 상인들이 확 줄었다”고 말했다.
거리에 붕어빵이 사라지고 있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붕어빵·군고구마·호떡 노점 등이 포함된 ‘통신 및 방문·노점 판매업’ 전체 취업자는 지난해 하반기 기준 34만7000명, 올해 상반기 33만9000명이다. 2019년 하반기(37만1000명), 2020년 상반기(36만3000명)와 비교해 3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이는 재룟값이 예년보다 크게 오르면서 인건비도 건지지 못하게 된 붕어빵 노점들이 문을 닫은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붕어빵 주재료로 사용되는 팥·밀가루 등의 가격은 예년에 비해 폭등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붕어빵 주재료인 붉은 팥(수입)의 도매가격은 이날 기준 40㎏당 26만4200원으로, 24만2720원 수준의 평년 평균 가격보다 약 10% 올랐다. 밀가루와 식용유 가격도 전월보다 각각 5.1%, 5.9% 올랐다. 거기다 붕어빵을 굽는 LPG 가격도 다음달 인상될 가능성이 대두된다.
고물가로 마진도 얼마 남지 않는 탓에, 가격이 부쩍 올라 ‘금(金)붕어빵’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과거에는 3마리 1000원, 4마리 1000원 정도였지만, 현재는 3마리에 2000원, 2마리에 1000원으로 약 2배가량 가격이 인상됐다. 강남, 명동 등 서울 주요 도심지역에서는 붕어빵 한 개 가격이 1000~1500원까지 올랐다.
길거리 음식으론 부담스런 가격에도 인기는 여전하다. 붕어빵 가게 위치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과 더불어, 당근 등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나 SNS에서도 끊임없이 붕어빵 노점의 위치와 영업시간을 묻는 질문들이 올라온다.
이에 유통·외식업계도 자사 길거리 간식 제품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신세계푸드는 지난달 겨울을 맞아 ‘올바르고 반듯한’ 붕어빵의 판매를 재개했다. 가정간편식으로, 에어프라이어나 전자레인지로 5분 정도 데워 먹는 제품이다.
식품사의 붕어빵 간편식은 월 매출 10억원이 넘는 브랜드로 성장했다. 지난해 8월 출시한 CJ제일제당의 비비고 붕어빵 3종(단팥·슈크림·초당옥수수)은 길거리 간식 성수기인 겨울로 접어들면서 11, 12월 매달 10억원 이상씩 팔렸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붕어빵을 떡볶이, 핫도그, 김밥 등과 함께 6대 ‘K스트리트 푸드’로 낙점한 만큼 길거리 음식의 국내외 육성에 속도 내고 있다.
오뚜기가 출시한 ‘꼬리까지 가득찬 붕어빵’ 2종(팥·슈크림)도 월 매출 1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올 여름에는 여름에도 시원하게 먹을 수 있는 냉동 붕어빵 2종을 선보이기도 했다.
카페 등 외식업계도 새로운 ‘붕세권’(붕어빵+역세권)으로 떠올랐다. 이디야커피는 최근 겨울 시즌 베이커리 메뉴로 붕어빵 2종(팥·슈크림)과 꿀호떡, 콘치즈 계란빵을 출시했다. 기존 미니 붕어빵이 아닌 실제 붕어빵 크기로 출시하고 전년보다 증량했다. 소금빵과 붕어빵을 합친 ‘소붕빵’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기도 한다.
이다연 기자 id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