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인력 감축 철회와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다음 달 6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3년 연속 파업이 된다. 다만 노조는 총파업 예고일 전까지 사측과 꾸준히 협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공사 1노조인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19일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2200명에 달하는 구조조정을 강압하며 현장 인력감축, 무책임한 안전 업무 외주화, 무자비한 노조 탄압을 내리꽂고 있다”며 “공사가 노조 요구에 응하지 않고 대화도 거부하면 12월 6일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노조가 지난 15~18일 진행한 파업 찬반 투표는 찬성률 71%로 가결됐다.
노조는 총파업에 앞서 경고성으로 20일부터 준법 운행을 시작하기로 했다. 30초로 규정된 정차 시간을 준수하고, 승객 승하차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며 지하철을 운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배차 간격이 늘어나고, 운행이 지연된다. 또 열차 운행이 아닌 작업에서도 ‘2인 1조’를 준수하고, 규정상 필수가 아닌 경우에는 작업을 거부할 계획이다.
현재 노조는 구조조정을 철회하고, 인력 운영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는 공사 재정난 해결을 위해 2021~2023년 감축한 680여명에 더해 정원 1500여명을 2026년까지 추가로 감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금 인상 폭도 쟁점이다. 노조는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내년도 임금 인상률로 2.5~6.6%를 요구하고 있다. 공사 측은 정부가 올해 정한 공공기관 인건비 인상률인 2.5%를 넘길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김태균 서울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은 “노조는 문제 해결과 원만한 타결을 위해 마지막까지 인내와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