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19일 “국민의힘이 상대적으로 노동 이슈를 좀 경시한다는 오해와 편견을 받아왔지만 그렇지 않다. 진심으로 ‘근로자의 힘’이 되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근로자가 진짜로 필요한 것을 제대로 찾아서 실천하는 정당이 바로 우리 국민의힘이다. 그러지 않고서 어떻게 집권을 하겠나”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또 “(국민의힘이) 우파 정당으로서 ‘우상향 성장’을 얘기하지만, 성장은 복지를 위한 도구”라며 “그런 차원에서 어떤 복지를 어떻게 우선순위를 정해야 노동자들에게 제대로 혜택이 돌아갈 수 있을지 깊이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한 대표는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정년연장 등을 논의했다. 정년연장은 한 대표 취임 이후 국민의힘 격차해소특별위원회에서도 논의해온 사안이기도 하다.
한 대표는 지난 1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1심 유죄 선고 이후 부쩍 민생‧정책 행보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법원 판결을 부정하며 ‘강경 투쟁’에 나선 야당과 차별화를 통해 중도층 지지를 넓히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한 대표는 전날에는 중소기업인 간담회에 참석해 대출금리 하향, 육아휴직 및 파견근로 지원 등 중소기업과 임직원들에 대한 지원책을 약속했다.
국민의힘은 민생 행보의 일환으로 당내 민생특별위원회 출범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책을 펴야 되는 상황에서 여러 길을 모색하고 있다. 어쨌든 방향은 민생 중심의 정치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후에는 여의도연구원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한미동맹 및 통상외교 강화 방안 긴급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할 수 있도록 한·미 원자력 협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대표는 “우리도 우리 안보를 지키는 과정에서 유연성 있는 전략을 다양하게 준비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재처리기술을 확보하는 원자력 협정 개정을 포함해 정부 차원에서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선 정우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