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많거나 어릴수록 여성이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단절 가능성도 커졌다.
통계청은 19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서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이 765만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9만명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들 고용률은 66.0%로 지난해보다 1.7% 포인트 상승했다.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62.4%로 2.4% 포인트 올랐다. 모두 201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자녀 나이가 어릴수록 기혼여성 고용률은 낮아졌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자녀 수별 고용률은 자녀 1명 63.4%, 자녀 2명 62.0%, 자녀 3명 이상 57.6%였다.
자녀가 많아도 기혼여성 고용률이 낮아졌다. 자녀 연령별 기혼여성 고용률은 6세 이하 55.6%, 7~12세 64.3%, 13~17세 69.2%였다.
15~54세 기혼여성 중 육아·결혼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 여성’은 121만5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3만3000명 줄었다.
연령별 경력단절 여성 규모는 35~39세가 24.7%로 가장 높고 50~54세가 7.3%로 가장 낮았다. 15~29세는 19.7% 기록하며 지난해보다 2.1% 포인트 내렸다.
자녀 연령이 낮을수록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이 많았다. 자녀 연령별 경력단절 여성 규모는 6세 이하 52만5000명, 7~12세 32만명, 13~17세 12만6000명 순이었다.
경력 단절 사유를 보면 육아(41.1%)가 가장 많고 결혼(24.9%)과 임신·출산(24.4%)이 뒤를 이었다.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41.2%)이 가장 많았다. 이어 5~10년 미만(22.8%), 1년 미만(12.6%) 등 순이었다.
김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