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가 후반기 의장으로 뽑지 못한채 식물기관으로 전락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의장자리를 두고 자리싸움만 하며 반년간 허송세월한 것이다.
19일 울산시 의회 사무처에 따르면 지난 7월 이성룡‧안수일 두 의원의 의장 선출 다툼이 급기야 법정까지 간 후 국민의힘 중앙당이 ‘의장 공백 사태를 수습하라’는 지침을 내리면서 재선거가 결정됐고, 이달 1일 의장 후보 선출을 위한 의원 총회가 또 한 번 열렸다.
이번에는 이 의원과 함께 전반기 의장을 지낸 김기환 의원이 후보 신청을 했고, 19명이 참석한 총회에서 10표를 얻은 이 의원이 다시 의장 후보로 선출됐다.
그러나 김 의원은 이 의장 선거에 출마하고자 후보 등록을 강행해 버렸다.
이에 국민의힘 중앙당은 김 의원을 해당 행위자로 지목하며 ‘징계 조치를 개시하라’고 주문했고, 울산시당은 윤리위원회 회부 등 징계 절차를 예고했다.
그러나 거세지는 시민 비판에 부담을 느낀 국민의힘은 두 의원 모두 후보를 사퇴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태를 수습했다.
시의회는 후보 등록부터 관련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진행한다는 계획인데, 현재 진행 중인 회기 일정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면 연내 의장 선출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국민의힘 울산시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울산시의회 후반기 의장 선거 과정에서의 문제와 그로 인해 의장 선출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깊은 책임감을 느끼며, 울산시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송구한 마음을 전한다”고 사과했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과 울산시의회를 강력 규탄했다.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은 “22석 가운데 20석을 독차지한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의 자리다툼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며 “즉각 사죄하고 의장을 선출하라”고 촉구했다.
진보당 울산시당도 시의회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며 비난의 공세를 높였다. 진보당 울산시당은 “시의회 절대다수 자리를 차지한 국민의힘은 울산시의회 파행 사태의 주범이고, 그 이면에는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의 입김까지 작용했다고 보이니 그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