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한·중 관계를 항상 신경쓰고 있다”며 “지난 5월 이후 (양국간) 고위급 대화가 빨라지고 잦아지고 깊어졌다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호혜적으로 한·중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페루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서로를 초청한 이후, 대중국 관계를 중시하는 메시지가 연일 발신되는 모양새다. 그간 막혔던 한·중 관계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등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미묘한 ‘해빙’ 분위기로 바뀌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8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중) 양국이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통상협력, 인적·문화적 교류 등에 대해 구체적 성과를 만들어갈 생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중국은 당 중심의 일사분란한 사회주의적 결정 프로세스를 지닌 나라”라며 “정부 간 고위급 대화의 활성화가 관계 개선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설명했다. 한·중 양국은 지난 5월 서울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외교안보대화, 1.5트랙 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등 소통 채널을 신설·재개해 교류를 확대했었다.
앞서 윤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브라질 언론과 인터뷰를 갖고 “한국에 있어 (미‧중) 양국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는 아니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시사한 내용으로도 받아들여졌다. 그간 윤석열정부 전반기의 외교 기조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한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 등 자유민주주의 ‘가치 외교’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중국이나 중동 국가들과도 협력을 도모한다는 태도였지만, 이들 국가가 한국과 다른 이념·제도를 가졌다는 한계 역시 거론돼 왔다.
대통령실은 다만 한·중 관계는 과거부터 일관되게 중시된 것이며, ‘가치 외교’가 ‘실리 외교’로 바뀌었다는 해석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양자택일 문제가 아니다’ 발언과 관련해 “그동안의 기조를 다시 쉽게 설명한 것”이라며 “중국의 비중을 경시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리우데자네이루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2년 반 동안 우리 전략은 바뀐 적이 없고, 그 전략은 ‘국익을 중시하는 외교’”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미동맹을 통해 전쟁을 막아 왔고, 파트너인 중국과도 투자·협력하고 기업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했다”고 설명했다.
리우데자네이루=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