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쥐는 힘이 약한 노인은 당뇨병 발병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손여주 교수는 2006~2020년 한국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KLoSA) 데이터를 활용해 65세 이상 노인 중 당뇨병이 없는 참가자들에서 반복 측정한 2만2016개 데이터를 추적 관찰해 상대 악력과 당뇨병 발생률 간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상대 악력은 근력과 체질량지수(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를 함께 고려한 지표로, 절대 악력을 BMI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절대 악력은 악력기로 측정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대 악력이 높은 그룹일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아졌다. 악력을 총 3분위로 나눴을 때 남성의 경우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군(하위수준)에 비해 중위 수준 그룹은 당뇨병이 발병할 오즈비(OR)가 0.87배, 가장 높은 그룹은 오즈비가 0.82배로 감소했다.
여성 노인에서도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군에 비해 중위 수준 그룹은 오즈비가 0.82배, 가장 높은 그룹은 오즈비가 0.79배 감소했다. 즉 근력 증진이 당뇨병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연구들은 절대 악력에 집중했지만 이번 연구는 체질량지수를 고려한 상대 악력을 사용해 더 정확한 근력과 대사질환 간 관계를 분석했다. 이는 근력 강화 운동, 특히 저항성 운동을 통해 근력을 개선하면서 체질량지수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노인의 당뇨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손 교수는 18일 “노인 건강 관리에서 근력 평가 및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상대 악력을 고려한 새로운 분석 방식이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 원’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