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리마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사회 취약계층이 공식, 글로벌 경제로 나아가기 위해 무엇보다 디지털 문맹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공동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청정 에너지 도입을 통한 기후위기 극복, APEC 지역 청년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금 설립도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 제2세션이자 정상 간 친목 행사인 ‘리트리트’에 참석해 “글로벌 복합위기 속에서 포용적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APEC이 보다 큰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 격차 해소를 강조하면서 “인공지능(AI), 초고속 인터넷과 같은 혁신 기술이 사회 구성원들의 경제활동을 뒷받침하는 데 활용되도록 APEC이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제1세션에서도 ‘혁신을 통한 계층간 격차 완화’ 필요성을 역설했었다.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기후위기 극복 방안으로는 수소·원자력·재생에너지 등 청정 에너지 도입·확대가 강조됐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수소경제를 위한 기술 협력과 국제표준 수립에 앞장서고,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원전 공급망 구축 등 원자력의 평화적 활용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 글로벌 기후위기 극복 노력에 앞장설 계획임을 강조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유엔 총회에서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이후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여러 국가가 CFE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위기에 취약한 젊은 미래세대를 돌보는 일에도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PEC 지역 청년들의 역량 강화, 교류 확대를 지원할 ‘APEC 미래번영기금’ 설립을 제안했다. 이 기금은 APEC 지역 청년층의 창업과 경제활동을 뒷받침하고, 역내 청년들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사용된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리마=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