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무기력증으로 일을 하기 어려웠는데 희망의 인문학을 알고 새로운 꿈이 생겼습니다. 희망의 인문학 자격증 취득 사업 프로그램을 듣고 자격증을 취득해 현재는 요양보호사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자격증 취득 공부를 하면서 그동안 왜 이런 공부를 하지 않았을까 후회했고 꿈도 생겼습니다. 역사를 좋아해 사이버 대학에서 역사에 대한 공부를 할 계획도 있습니다.”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사업에 참여한 한 50대 남성이 15일 개최된 수료식에서 밝힌 소감이다.
서울시는 이날 시청에서 ‘2024 희망의 인문학’ 사업 수료식을 개최하고 수료생 827명을 배출했다. 올해 희망의 인문학 참여자는 989명, 이 중 84%에 해당하는 827명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희망의 인문학은 노숙인과 저소득층 시민의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자립의지를 북돋아 주는 오세훈표 ‘약자와의 동행’ 대표 정책이다.
이 사업은 2008년 오 시장 민선 4기 재임시 시작됐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400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했고 오 시장이 서울시장으로 복귀한 지 1년 만인 2022년 10년 만에 부활, 2022년 303명, 2023년 696명이 프로그램을 수료했다.
이날 수료식에는 오 시장과 원용걸 서울시립대 총장, 장경남 숭실대 교수를 비롯해 수료생 대표 250여 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이 자리에 함께하신 여러분들이 그동안 혹시 완전히 희망을 잃고 계시다 희망의 인문학 과정을 통해 크고 작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 인생의 의미를 살릴 수 있다면 저는 그걸로 충분한 보람을 느끼고 목표를 달성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여러분들의 성취가 비슷한 아픔을 겪고 계실 수 있는 분들에게 전달돼 서울시를 좀 더 희망이 있는 곳으로, 변화를 꿈꾸는 곳으로 만들어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며 수료생들에게 축하의 인사를 전했다.
올해 수료식은 수료생들이 직접 참여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었다. 수료생 대표의 개회사로 시작을 알리고 각 과정별 우수 수료생에게 서울시장상·대학총장상 등이 수여됐다. 이어 수료생으로 구성된 ‘희망의 합창단’ 합창공연이 이어졌다.
오 시장은 수료생들과 ‘내가 나에게, 우리에게’라는 제목의 토크콘서트도 가졌다. 희망의 인문학 참여 계기와 소감,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오 시장은 “아무리 바빠도 희망의 인문학 수료식만큼은 꼭 참석하고 있다”며 “삶의 끝자락에서 배움으로 희망을 찾은 ‘숨겨진 챔피언’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격려했다.
시는 14~18일 덕수궁 인근 ‘스페이스 소포라’에서 희망의 인문학 수료생 전시회도 진행한다. 석고상, 도자기, 목공예, 자존감 회복 과정에서 작성한 글쓰기, 캘리그라피, 그림 등 150여 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선 쪽방 주민의 정서 함양을 위해 마련된 ‘디딤돌 문화교실’의 결과물 50점(한지공예, 사진, 보태니컬아트, 시화 등)도 함께 전시된다.
시는 올해부터 희망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철학·문학·역사 등 인문학 과정은 물론 요양보호사·바리스타·조리사 취업 등과 관련된 커리큘럼을 도입했다. 심리상담·음악·서예 등 심리·건강, 문화·예술 분야 과정도 신설했다. 서울시립대, 숭실대 등 대학이 주관하는 양질의 인문학 강의도 개최했다.
과정 종료 후에도 수료생간 관계 유지를 통해 마음을 치유하고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자조모임도 운영도 지원하고 있다.
현재 희망의 인문학과정은 ‘희망과정’(시설주관), ‘행복과정’(서울시립대·숭실대주관), ‘대학특강’으로 나눠 진행 중이다.
희망과정은 철학, 글쓰기, 문학, 역사 등 인문학을 중심으로 체험, 심리·건강, 문화·예술, 일자리 분야 64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올해는 독서모임 다독다감(노원지역자활센터), 정보공유모임 모람모람(흰돌회) 등 자조모임 14개에 대한 지원도 펼쳤다. 35개 시설에서 838명이 수강해 최종 697명(83%)이 수료했다.
행복과정은 노숙인 및 저소득 시민이 직접 서울시립대학교와 숭실대로 찾아가 강의를 수강하는 방식이다. 수강생들은 대학 캠퍼스에서 인문학 강의를 듣고 학생식당에서 식사하며. 고궁 등 역사 체험, 문화 체험, 체육 활동 등 다양한 현장 체험학습도 진행했다. 시립대에서는 73명이 수강해 64명(87.7%), 숭실대에서는 78명이 수강해 66명(84.6%)이 수료했다.
이외에도 서울시립대와 숭실대에서는 취업·건강 등의 사유로 정규과정 참여가 어려운 대상자를 위해 누구나 인문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역사, 철학 등 인문학 대학 특강을 대학별 2번씩 4차례 진행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