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교수들이 14일 시국선언에 동참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과 특검 시행을 촉구했다.
고려대 교수 152명은 이날 서울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과 주변의 이익을 위해 권력을 사유화한 대통령에게 권한을 계속해서 행사하도록 해서는 결코 안 된다”고 밝혔다.
교수들은 “지금 우리는 미래에 대한 비전과 희망 대신, 대통령 부부의 국정 농단을 보며 우려와 당혹감을 넘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며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고 비판했다.
교수들은 “현 대통령 부부의 국정 농단은 일제 식민 지배, 분단과 전쟁을 겪으며 힘들게 쌓아 올린 대한민국의 통치제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언론 보도를 통해 확인된 각종 게이트는 박근혜 정권에서 벌어진 농단을 무색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삼권분립에 기초한 민주공화국의 근간을 뒤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온세력, 반국가세력과 같은 시대착오적인 용어를 써가며 국민을 몰아세우고, 검찰을 동원해 반대 세력을 탄압했으며 언론을 장악해 시민들을 통제하려 했다”며 “그 주된 이유가 대통령과 그 주변의 안위와 이권 카르텔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면 진정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2022년 이태원 참사와 지난해 채상병 사망 사건, 올해 의료대란 사태를 언급하며 “국민의 안전을 지키지 못하고 나아가 진상 규명을 방해하는 정치 세력과 권력자는 더 이상 국민의 곁에 머물 자격이 없다”고 강조했다.
교수들은 “지난 7일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이 정권이 나아질 가능성이 없다는 사실을 여실하게 보여줬다”며 “이를 본 국민은 모욕감과 참담한 심정으로 불의와 무지, 무능으로 가득한 현재의 권력이 더 이상 지속해서는 안 된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대학가 시국선언은 지난달 28일 가천대를 시작으로 확산하고 있다. 앞서 한국외대와 한양대, 숙명여대, 인천대, 전남대, 충남대, 가톨릭대, 경희대, 공주대 등에서도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날 국민대학교 교수 61명도 시국선언문 발표를 통해 “국정 파탄의 책임은 누구에게도 미룰 수 없다”며 “윤 대통령의 자질과 능력이 부족하다면 그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타당하다. 국민을 위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