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중국국제항공우주박람회(주하이 에어쇼)가 12일 중국 남부 광둥성 주하이에서 개막했다. 17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A 등 중국의 최신 첨단무기들이 총출동했다.
격년으로 개최되는 주하이 에어쇼는 중국 최대 항공 박람회로 올해는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창설 75주년을 맞아 사상 최대 규모로 열렸다.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선 중국의 두 번째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A가 대중들에게 처음 공개됐다. 중형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J-35A는 2017년 실전 배치된 5세대 대형 스텔스 전투기 J-20에 이어 중국에서 두 번째로 개발된 스텔스 전투기다.
공중우세기인 J-20과 달리 다목적 전투기로 개발됐고 함재기형 등 다양한 파생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J-20보다 기체가 작고 가벼워 생산 및 유지 비용이 적게 들고 스텔스 능력도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외형은 미국 F-35와 흡사하지만, 단발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F-35와 달리 J-35A는 WS-13 터보팬 엔진 2기를 장착했다.
J-35A가 실전 배치되면 중국은 F-22와 F-35를 실전 배치한 미국 공군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스텔스 전투기 두 종을 동시에 전력화한 국가가 된다.
기존 함재기 J-15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캐터펄트 사출이 가능한 J-15T도 처음 공개됐다. 중국은 스키점프대 발진 방식의 항모 랴오닝함과 산둥함 외에 전자식 캐터펄트 방식의 푸젠함을 시험 운용중인데 J-15T는 푸젠함에 탑재 가능하다. J-15T에는 러시아 엔진을 참고해 만든 중국산 WS-10 터보팬 엔진이 장착됐다.
‘중국판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로 불리는 훙치(紅旗)-19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도 에어쇼에 등장했다. 훙치-19는 8축 16륜 발사대 한 대에 미사일 6발이 실린다. 정확한 제원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사정거리 1000∼3000㎞의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 배치한 중거리 미사일이나 인도의 핵무기를 요격할 수 있는 셈이다.
올해 에어쇼에는 드론 전용 구역 처음 설치됐다. 이곳에선 제트 엔진을 갖춘 대형 무인항공기 SS-UAV 주톈(九天)도 공개됐다. 드론 모선 역할을 하는 이 항공기는 소형 드론을 탑재해 비행하다가 정보 수집이나 타격이 필요할 때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기체 길이 16.35m, 날개 길이 25m, 최대 이륙중량 16t, 최대 임무비행 고도 1만5000m, 최대 비행속도 시속 700km, 운항시간은 12시간 이상이다.
최신 스텔스 고속 무인전투함 후징(虎鯨·범고래)도 처음 공개됐다. 배수량 500t, 길이 58m, 폭 23m, 항속거리 6400㎞로 대공·대함 미사일과 무인 헬기를 탑재했다. 시계외 공격, 대공 유도탄 발사, 잠수함 탐색 및 공격 등의 무인 자율 작전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실전 배치된 러시아의 5세대 최신 스텔스 전투기 Su-57도 이번 행사에 참가했다. Su-57은 러시아가 처음 개발한 스텔스기로 해외에서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